
이재명 대통령이 '728조 슈퍼예산' 지출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새로 신설되는 '청년미래적금'이 주목받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 관한 시정연설에서 "청년미래적금을 신설해서 저소득 청년이 저축을 하는 경우 정부가 최대 12%를 매칭 적립해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 '청년미래적금' 지원에 744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청년이 매달 50만 원씩 3년간 납입하면, 정부가 매월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구조로, 이자는 별도로 지급된다.
'일반형'은 정부가 가입자 납입액의 6%를 지원해 3년간 총 108만 원의 기여금을 제공하며, 중소기업에 신규 취업한 청년은 '우대형'으로 12%인 216만 원을 지원받는다. 여기에 이자까지 더해져 목돈 마련이 가능하다.
가입 대상은 △근로소득 연 6000만 원 이하 및 중위소득 200% 이하이거나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인 청년이다. 월 납입 한도는 50만 원, 만기는 3년이다.
예를 들어, 3년간 매달 50만 원씩 납입하면 일반 청년은 정부기여금 108만 원을 포함해 2000만 원을, 중소기업 신규 취업 청년은 216만 원을 포함해 총 2018만 원을 받을 수 있다.
이번 상품은 기존 윤석열 정부의 '청년도약계좌' 만기 기간이 길다는 지적에 따라, 월 납입액을 낮추고 기간도 단축한 것이 특징이다. 청년미래적금은 내년 6월 출시 예정이다.
한편, 이 대통령은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 균형발전 정책도 함께 발표했다. 정부는 ▲지역사랑상품권 24조 원 발행 ▲인구감소지역 월 15만 원 기본소득 지급 ▲포괄보조규모 3배 확대(10조6000억 원 규모) ▲경영안전바우처 지급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재정지원 사업 선정 시 지방우선, 지방우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며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해 수도권에서 멀수록 더 많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 노인 일자리는 올해 110만 개에서 내년 115만 개로 확대하고, 고령자 고용유지를 위한 '고령자통합장려금' 제도를 신설해 매월 3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