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 남성 절반 이상 비만, 여성 주관적 인식 높아

우리나라 성인 셋 중 한 명은 비만으로 나타났다. 10년 전보다 약 30.8% 증가한 수준이다. 남성은 30∼40대에서, 여성은 60∼70대에서 비만율이 높았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전국 258개 시군구에서 만 19세 이상 성인 약 23만 명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런 내용의 심층 분석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으로 비만에 해당하는 성인은 34.4%였다. 2015년 26.3%에서 1.3배 늘어났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41.4%, 여성은 23.0%로 남성의 비만율이 여성보다 1.8배 높았다. 특히 30대 남성의 비만율은 53.1%, 40대 남성은 50.3%로 절반이 넘었다. 여성은 연령대가 올라갈수록 비만율도 증가해 60대(26.6%), 70대 이상(27.9%)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비만인 사람들 중에서는 남성의 77.8%, 여성의 89.8%가 스스로 비만임을 인지했으며 비만이 아닌 사람 중에서는 남성의 13.0%, 여성의 28.2%가 스스로 비만이라고 답했다. 주관적으로 자신이 비만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여성에서 훨씬 높은 것이다.
전체 성인 인구 중 약 5명 중 3명(65%)이 체중을 줄이거나 유지하려고 했다. 체중조절 시도율을 분석한 결과 비만인 사람은 남성 74.7%, 여성 78.4%로 대부분 체중조절을 시도했으며 비만이 아닌 집단에서도 남성 42.0%, 여성 64.6%가 체중조절을 시도했다.
비만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36.8%)이었고 가장 낮은 곳은 세종(29.1%)이었다. 시군구별 기초 단위 비만율(3개년 평균)은 충북 단양군이 44.6%로 가장 높았고 경기 과천시가 22.1%로 가장 낮았다.
OECD 보건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비만율은 36.5%로 OECD 평균 56.4%보다 약 20%p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생활 습관 변화와 서구화된 식단의 영향으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맞춤형 건강관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질병청은 밝혔다.
질병청은 “체중의 5∼10%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대사와 호르몬 분비가 개선된다”며 “단순한 약물 치료를 넘어 반드시 식이 조절과 운동을 포함한 생활 습관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동규 기자 admi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