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1000대 기업 수익성 추이 분석
자산 대비 영업이익률 4.2→2.2%로 줄어
기업지원 정책 고수익·고성장 중심 전환해야

▲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한국 간판기업들의 수익성이 20년 새 반 토막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이 크게 줄어든 건데 고수익‧고성장 중심의 기업 지원 정책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을 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내놓은 ‘매출액 1000대 기업 20년 수익성 추이와 시사점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000대 기업은 2004년만 해도 자산 1억 원으로 420만 원의 수익을 남겼는데 2024년엔 수익이 220만 원 수준으로 감소했다. 총자산영업이익률이 4.2%에서 2.2%로 크게 떨어졌다는 것이다. 총자산영업이익률은 영업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지표로 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해 수익을 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주지환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국내 기업의 채산성이 큰 폭으로 악화된 만큼 그간의 지원정책이 기업의 성장 역량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했는지 면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이 같은 추세가 장기화될 경우 기업의 투자·고용·혁신성이 연쇄적으로 둔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경제 전반의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보고서는 한계기업 보호정책이 자원 배분의 비효율성만 고착시킬 수 있다는 분석도 더했다.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생태계에서 한계기업이 10%p(포인트) 늘면 정상기업의 매출액증가율(성장성)과 총자산영업이익률(수익성)은 각 2.04%p, 0.51%p 하락한다. 대한상의는 “정책의 방점이 혁신기업보다는 한계기업의 연명에 찍히다 보니 부정적 외부효과를 양산하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곽관훈 중견기업학회 회장 역시 “총자산영업이익률의 하락은 기업이 저수익·저투자라는 악순환의 늪에 빠져 있다는 경고 신호”라며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면 신규 설비, R&D 등에 대한 재투자가 줄어 결국 국가차원의 투자·고용이 둔화돼 잠재성장률이 하락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기업의 수익성을 반전시켜 국가경제를 성장시키려면 기업 규모에 따른 역진적 인센티브 구조를 해소하고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성장과 수익을 이뤄내는 기업에 리워드(보상)를 주는 방식으로 정책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업의 성장 의지를 북돋우고 자원 배분의 효율성을 제고하자는 취지다.

대한상의는 중소기업 상장사 중 총자산영업이익률 상위 100개 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면 단순 계산으로도 5조 4000억 원의 부가가치를 추가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수익이 줄어드는 기업을 보호하기 보다는 수익이 늘어나는 기업을 장려하는 것이 성장률을 제고하는 길”이라며 “기업이 계단식 규제 때문에 스스로 성장을 피하는 피터팬 증후군을 선택하는 모순이 사라질 수 있도록 기업성장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김형중 기자 kimhj@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