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의 '대만 개입' 시사 발언으로 중국 내 일본 여행 취소가 잇따르자 한국이 대체 여행지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 매체 펑파이는 지난 18일 “최근 중국 주요 여행사들에서 일본 단체관광 취소 요청이 잇달아 접수되고 있다”며 “환불 문의도 폭주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14일부터 자국민에 일본 여행을 자제하라고 공식 권고하며 사실상 ‘한일령(限日令)’ 수준의 규제를 가동했다.
일본 여행 감소분은 곧바로 한국으로 흘러가고 있다. 중국 여행 플랫폼 취날(去儿)이 지난 17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주말(15~16일) 중국인의 해외 여행지 선호 조사에서 한국이 1위를 기록했다. 그동안 부동의 1위였던 일본은 순위가 밀렸으며, 같은 기간 한국행 항공권 결제량과 검색량 역시 최고치를 기록했다. 뒤이어 태국,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이번 현상의 시작점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이었다. 그는 지난 7일 일본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해상 봉쇄 상황을 해제하기 위해 미군이 움직일 경우 중국이 무력을 행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전함을 동원한 무력 충돌은 일본의 존립 위기 사태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중국을 겨냥한 강경 발언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중국 내 여론이 격화됐다.
중국 정부는 즉각 발언 철회를 요구했지만 일본 측이 별도의 대응을 하지 않자, 외교부와 문화관광부가 ‘일본 여행 자제령’을 공식 발표했다.
중국인은 일본을 찾는 외국인 여행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일본 관광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중국인 관광객은 전체의 약 25%로, 이들의 소비액은 1조6443억엔(약 15조4000억 원)에 달한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2조엔 규모로, 팬데믹 이전인 2019년보다 더 큰 수치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일본 관광업계의 피해가 상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반면 한국 관광 산업은 중국인 수요의 이동으로 수혜가 기대된다. 통상 방한 외국인의 30%가 중국인 관광객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