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에서도 압도적 찬성률 기록
선결과제 대해선 세대별로 의견 갈려

▲ 정년연장 인식 조사 결과. 리멤버리서치 제공

직장인 4명 중 3명이 정년연장에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2030 세대에서도 압도적인 찬성률을 보여 그간 대표적 세대 갈등 이슈였던 ‘정년연장’에 대한 통념이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멤버리서치가 직장인 103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정년 연장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74%가 정년연장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찬성률은 60대(80.8%)와 50대(77.9%) 순으로 높았는데 20대(67.9%)와 30대(70.4%)에서도 압도적 찬성률을 보였다.

이상적인 정년을 묻는 문항에는 전체의 60.2%가 ‘만 63~65세’를 꼽았다. 정년연장을 원하는 이유를 묻는 문항에는 ‘노후 생활 안정’(39%), ‘국민연금 수급까지의 소득 공백’(17.8%)이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다. 다만 60대 이상에서는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를 더 활용하기 위해’라고 응답한 비율이 29.7%로 가장 높았다.

정년 연장에 대한 공감대는 형성됐지만 실행방안에 대해서는 세대별로 의견이 갈렸다. 20대 응답자의 28.6%는 ‘성과·직무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을 1순위로 꼽아 연공서열이 아닌 공정성 확보를 우선시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40대(27.2%)와 50대(27.4%)에서는 ‘고령 인력의 생산성 유지를 위한 재교육’의 응답 비율이 높아 조직의 생산성 저하를 현실적으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대웅 리멤버 리서치사업실장은 “정년연장 논의는 세대 갈등이 아니라 기존의 ‘인사·고용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편에 초점을 두고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조현재 기자 chohj0505@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