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상대책주민회 | 동학사상가번영회 |
| 축제 포기는 상인회 입장 여타 주민 생업피해 막대 127명 서명 탄원서 제출 | 축제 안해도 탐방객 몰려 축제 개최하자는 주장은 자신들 이익확보 위한 것 |
계룡산 동학사 벚꽃축제를 개최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공주시가 올해부터 계룡산 벚꽃축제를 개최하지 않는다고 공식 선언한 가운데 일부 주민들은 갑작스럽고도 일방적인 축제포기로 인해 생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을 것을 우려하고 있다.
‘계룡산 벚꽃축제를 열지 않겠다’는 선언은 이 행사를 주최해 온 계룡산동학사상가번영회가 지난 4일 공주시에 축제포기서를 제출함에 따른 것으로, 벚꽃축제 개최 여부를 놓고 동네주민 간 갈등 양상을 보이고 있다.<본보 3월 15일자 17면 보도>
벚꽃축제를 열어 지역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동학사 벚꽃축제 비상대책 주민회’는 19일 127명의 서명을 담은 탄원서를 이준원 시장에게 제출하면서 “상가번영회의 입장은 전체주민의 의사에 반하는 것으로, 일방적인 축제포기는 여타 주민들의 생존권을 묵살하는 처사”라고 날을 세웠다.
이들은 탄원서에서 “수십 년간 유지된 축제는 지역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며 “대다수의 주민이 축제가 지속되길 바라는 만큼 재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잡상인과 불법 노점상 등 축제가 무질서하다는 점을 들어 축제를 포기하는 것은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는 것’과 같은 이치”라며 “개선 여지와 기회마저 박탈하는 처사는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노점상 유치로 일부 토지주들만 이익을 본다는 것은 어불성설로 토지주 동의가 없으면 축제가 불가능하고, 토지주들 또한 공주시민들로 그 이익은 곧 지역에 이익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야시장도 축제의 하나의 볼거리이자 즐길거리로, 썰렁한 축제를 살리는 촉매제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무조건적인 단속과 차단은 각종 불협화음을 낳고 주민 갈등으로 비화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지금까지 조악한 축제를 진행한 것은 전적으로 상가번영회의 몫이지 주민들의 몫은 아니다”며 “축제포기로 인한 피해를 주민전체가 지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이번을 기회로 전 주민이 합심해 새로운 축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겠다”며 탐스러운 계룡산 벚꽃을 배경으로 지역경제가 일어설 수 있도록 시의 적극적이고 전향적인 검토를 촉구했다.
이와는 반대로 축제포기를 선언한 상가번영회 측은 “지난해 말 회의에서 벚꽃축제 개최 여부를 놓고 고심한 끝에 다수결에 의해 축제포기를 결정했다”며 “축제를 재개해야 한다는 일부의 주장은 자신들의 개인적인 이익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점상과 불법 영업행위에 대한 강력한 단속을 시에 요청한 상태로, 계룡산을 찾는 관광객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벚꽃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굳이 축제를 열지 않아도 아름답게 핀 벚꽃을 보기 위해 탐방객들이 몰려오는 만큼 오히려 비수기인 겨울에 눈꽃축제를 여는 것이 주민과 상가들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벚꽃축제 개최여부를 놓고 지역주민 간, 상가들 간 불협화음이 일면서 공주시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
공주=이건용 기자 lgy@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