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로부터 어렵게 따낸 사업 주민들 "악취 심하다" 강력 반발
이미 보조금도 지급받은 상태 진척 보이지 못하면 반납 위기
논산시와 논산계룡축협이 공동으로 환경부로부터 어렵사리 따낸 지역단위통합관리센터 자원화(바이오 가스화) 시범사업이 이렇다할 진전을 보지 못한 채 답보를 거듭 중이다.
주민들 반발이 워낙 거세다보니 운영 주체인 시와 논산축협이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한 채 세월만 보내고 있다.
올해 안에 사업이 시행되지 못하면 어렵게 따낸 사업을 반납해야 할 처지에 내몰리고 있다.
◆ 사업 당위성 인정 불구 ‘하세월’
지역단위통합관리센터 건립 예정지는 채운면 장화리는 현재 논산축협이 운영 중인 논산시자연순환농업센터가 설치돼 있는 상태로 시설 호환 문제 때문에 다른 장소로의 변경도 불가능하다.
바이오가스화 사업은 지난해 논산시와 논산계룡축협이 사업권 선점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 전국 지자체 중 유일하게 사업권을 따냈다.
선정 당시 논산지역에서는 시내 곳곳에 축하 현수막이 내걸리는 등 대대적인 환영을 받았지만 정작 해당 지역주민들에게는 혐오시설로 인식돼 첫 삽조차 뜨지 못한 채 세월만 보내고 있다.
지역단위통합관리센터에서는 가축분뇨와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비율로 배합, 바이오 가스와 액비를 동시에 생산해 낸다.
시설이 가동되면 가축분뇨와 음식물 쓰레기가 자원화 돼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고 생산된 액비와 바이오가스는 농업과 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다.
때문에 대다수 논산시민들은 “자원 재활용화는 물론, 환경보전 차원에서 반드시 추진해야 할 사업”이라는 입장들이다.
하루 130㎥ (가축분뇨 100㎥, 음식물 쓰레기 30㎥) 처리규모인 이 시설은 모두 100억 원의 사업비가 소요된다.
지난해 환경부로부터 시범사업에 선정된 후 2억 원의 설계 등을 위한 보조금도 환경부로부터 이미 지급받은 상태다.
사업비 100억 원은 논산시와 논산계룡축협이 10억 원과 20억 원을 각각 보태고 나머지 70억 원은 국비로 지원된다.
◆혐오시설 절대반대 추진 난항
논산시와 논산계룡축협 측은 지난해 말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 올해 말 완공을 목표로 했지만 주민들 반발로 전혀 진척을 보이지 못한 채 자칫 사업 반납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 처지다.
시 관계자는 “민원 해결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 중이지만 아직 이렇다할 성과는 없다”고 밝히고 “최근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경기도 포천시로 선진지 견학도 실시했지만 주민들 반발은 여전하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주민들은“채운면 장화리 지역에 가축분뇨 등을 사용, 액비를 생산해 내는 논산시자연순환농업센터가 설립돼 주민들이 악취로 많은 고생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며 반대 입장을 고수 중이다.
올해 초 “악취를 유발하는 대단위 혐오시설이 설치는 절대 묵과 할 수 없다”며 지역 곳곳에 현수막을 내건 주민들은 얼마 전부터 또 다시 논산시 도심에 반대 현수막을 내걸고 결사 반대의지를 재차 다지고 있어 현재로선 해결의 기미가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다.
논산=이상진 기자 sj2422@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