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직 진출' 女 대표성 전국 최하위

'지역 성평등 수준' 대전 상위권 분류

대전의 성평등 수준은 전국에서 상위권, 충남은 중하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충남은 광역·기초단체장 및 광역·기초의회 의원, 5급 이상 공무원, 초·중·고 교장의 성비(性比)를 지표로 하는 ‘대표성 제고’ 영역에서 최하위의 불명예를 안았다.

여성가족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분석한 ‘2013년 지역별 성평등 수준 분석 연구’ 결과, 2012년을 기준으로 전국 16개 시·도(세종은 제외)의 성평등지수는 완전 성평등 상태를 100점이라고 가정할 때 52.5점으로 전년(51.7점) 대비 0.8점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4개 영역별로는 ‘복지’(기초생활보장자·공적연금가입자·노후준비자 성비) 성평등 수준이 76.1점으로 가장 높았고, ‘경제참여와 기회’(고용률·관리직·상용직근로자 성비, 남녀 임금 격차) 54.7점, ‘가정과 안전한 삶’(가족관계만족도·가사노동시간·육아휴직사용·사회안전인식도·강력범죄피해자 성비) 54.0점, ‘대표성 제고’ 14.6점 등으로 편차가 매우 컸다.

또 지역별 성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등 4단계로 구분한 결과, 16개 시·도가 50.3점~55.9점에 분포해 갭은 크지 않았고, 대전은 강원·서울·제주와 함께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중상위권에는 경기·부산·인천·전남, 중하위권엔 충남·경북·울산·전북이 포함됐고, 충북·광주·대구·경남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대전·충남의 영역별 순위는 ‘대표성 제고’의 경우 대전은 7위, 충남은 16위였고, ‘경제참여와 기회’는 대전 10위, 충남 5위, ‘가정과 안전한 삶’은 대전 7위, 충남 11위, ‘복지’는 대전 3위, 충남 12위 등으로 파악됐다.

지역 성평등지수는 시·도별 성평등 수준과 성평등 정책의 효과를 측정해 여성정책을 활성화하고 성평등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4개 영역 16개 지표로 2011년(2010년 기준)부터 산정하고 있다. 여성부는 지금까지 시·도별 종합점수와 순위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내년부터는 각 지자체가 성평등 실현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갖도록 이를 공표할 방침이다.

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