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렵장을 설정, 운영을 앞두고 있는 태안군이 유해야생동물 포획이라는 본래 취지와는 다르게 소요예산 충당을 위해 비싼 수렵장 사용료를 받기로 해 비난을 받고 있다.군은 수렵장 사용료가 비싼 ‘황색 포획승인권’ 하나만 운영한다고 밝혀 수렵인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수렵인들은 ‘청색포획승인권’과 ‘황색포획승인권’은 사용료가 다르기 때문에 수렵인이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군은 수렵인이 청색 포획승인권 사용료를 내고 황색승인권의 야생동물(고라니)까지 포획한 과거 사례에 비추어 황색 포획승인권만 운영하는 게 맞다고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다.더욱이 군의 이 같은 결정 배경에는 군이 내세우는 당위성 외에도 수렵장 운영 예산을 충당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장삿속 수렵장 운영이라는 비난의 목소리도 나오고있다.수렵인들에 따르면 환경부는 수렵장 사용료를 청색 포획승인권(수꿩, 청둥오리, 산비둘기, 참새 등) 20만 원, 황색 포획승인권(청색포획승인권 야생동물과 고라니 포함) 30만 원, 적색 포획승인권(황색포획승인권 야생동물과 멧돼지 포함) 40만 원 등 3단계로 구분, 승인하고 있다.특히, 태안군은 멧돼지 서식지가 아니기 때문에 청색과 황색 포획승인권을 같이 운영해야 하지만 군은 황색포획승인권 하나만 운영하겠다고 환경부의 승인을 받았다.이로 인해수렵인들은 청색 포획승인권의 야생동물만 포획하고 싶어도 울며 겨자먹기로 황색 포획승인권 사용료를 내야 하기 때문에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A 씨는 “태안군은 타 지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500명의 수렵인을 모집하면서 소요예산을 충당하기 위해 수렵인의 수렵장 사용료 선택권을 박탈했다"며 "수렵인 모집인원을 늘리면 수렵장 운영예산도 충당할 수 있고 외지에서 찾아온 수렵인들이 음식점과 숙박업소를 이용, 지역경제도 살리는데다 유해조수도 포획하는 등 1석3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그는 또 "김세호 군수는 선거공약을 실천하기 위해 군정방침을 군민과의 소통행정으로 정했지만 산하 공직자들은 아직도 군수의 뜻을 행정에 접목시키지 못하는 것 같아 아쉽다"며 "수렵장 설정계획 수립단계에서 군민(수렵인)의 권익보호를 위한 소통행정은 없었다"고 아쉬워 했다.군 관계자는 “포획승인권 운영은 지자체의 지리적, 환경적 특성을 고려해 환경부의 승인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며 “태안군 수렵장의 경우 소요예산 1억여 원을 충당하기 위해 황색포획승인권 한 종목으로 500명을 선착순 모집,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한편 태안군은 오는 17일부터 내년 2월 28일까지 ‘태안군 수렵장’을 운영키로 하고 참여를 희망하는 수렵인은 이달 10일부터 1인당 1계좌로 황색 포획승인권 사용료 30만 원씩 지정계좌로 입금토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