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희<추사·秋史>, 일곱살부터 드러난 천재성

19세기 한국사에서 최고의 인물을 꼽으라면 단연 추사 김정희(金正喜, 1786~1856년, 초명은 원춘)를 꼽지 않을 수 없다. 추사는 문신(文臣), 실학자(實學者), 서화가(書畵家)이며 자는 원춘(元春), 호는 추사(秋史), 완당(阮堂), 예당(禮堂), 시암(詩庵) 등 호가 503종에 이른다.
세한도로 대표되는 그림과 시(詩)와 산문에 이르기까지 학자로서 또는 예술가로서 최고의 경지에 이른 인물이다. 금석학 연구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업적을 남겼으며, 전각(篆刻, 나무, 돌, 금옥 등에 인장을 새기는 것 또는 그런 글자로 흔히 전자로 글을 새긴 데서 유래함) 또한 최고의 기술을 가져 천재 예술가로서 그의 이름을 능가할 인물은 거의 없다고 평가받고 있다.

추사는 1786년 6월 3일 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서 부친 김노경과 모친 기계유씨 사이에 장남으로 태어났다. 일찍이 북학파의 태두 박제가는 추사의 입춘첩(立春帖)을 보고 학예로 대성(大成)할 것을 예언했다고 한다.
천재의 출생이니만큼 탄생 일화가 없을 리 없다. 어머니 뱃속에서 10개월이 아닌 24개월 만에 세상에 태어났다는 이야기도 있고 태어날 무렵 시들어가는 뒷산 나무들이 아기 김정희의 생기를 받아 다시 살아났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탄생일화는 천재를 포장해주는 이야기일 뿐이고, 어려서부터 뛰어난 자질을 보였음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김정희 집안은 안동 김씨, 풍양 조씨와 더불어 조선후기 양반가를 대표하는 명가문(名家門)인 경주김씨였다. 증조부 김한신은 영조의 둘째딸인 화순옹주와 결혼해 월성위에 봉해진 인물이다. 김한신이 39세에 후사 없이 죽자 월성위의 조카인 김이주가 양자로 들어가 대(代)를 이었는데 이가 김정희의 할아버지이다. 추사는 병조판서 김노경과 기계 유씨 사이에 장남으로 태어났으나, 큰아버지 김노영이 아들이 없어 양자로 입양됐다. 큰댁으로의 양자 입양은 조선후기 양반가문에서는 흔히 있는 일이다.
어린 김정희의 천재성은 일찍부터 발견됐다. 그의 나이 일곱 살 때의 일이다. 번암 채제공이 집 앞을 지나가다가 대문에 써 붙인 입춘첩(立春帖) 글씨를 보게 됐다. 예사롭지 않은 글씨임을 알아차린 채제공은 문을 두드려 누가 쓴 글씨인지를 물었다. 마침 친아버지인 김노경이 우리 집 아이의 글씨라고 대답했다. 글씨의 주인공을 안 채제공은 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한다. “이 아이는 반드시 명필로서 이름을 떨칠 것이다. 그러나 만약 글씨를 잘 쓰게 되면 반드시 운명이 기구해 질 것이니 절대로 붓을 쥐게 하지 마시오. 대신에 문장으로 세상을 울리게 되면 반드시 크고 귀하게 될 것입니다.”
추사는 1809년 24세에 생원시(生員試, 생원, 진사시험)에 합격해, 그해 부친을 따라 청나라 연경을 수행하고 이듬해 돌아올 때 가져온 씨를 고조부묘 앞에 심은 ‘백송’은 천연기념물 제106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34세에 문과(文科, 대과)에 급제한 후 충청우도(右道) 암행어사, 성균관 대사성(大司成, 정3품), 병조참판(參判, 종2품 국방차관)을 지내다가, 1840년 55세에 당쟁에 몰려 9년간 제주도에 유배됐다. 유배 중 1844년 59세에 당시 제자이던 우선(藕船) 이상적에게 그려준 세한도(歲寒圖, 국보 제180호)는 세계적인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