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계각층 의견 수렴 개명운동 추진
자문위원 참여…학술세미나 성황
홍주시 승격 위한 기반조성 노력도
충남도청 소재지인 홍성군의 옛 지명인 ‘홍주(洪州)’를 되찾기 위한 홍성군민과 사회단체의 활동이 본격화됐다.
지난해부터 설립을 준비해 온 홍주지명 되찾기 범군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는 지난 6일 홍성문화원 대강당에서 공식출범을 선언하고 학술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오석범 전 홍성군의원을 본부장으로 하는 운동본부는 전직 군수·군의원·대학교수·기관 및 사회단체장 등 200여 명이 운영·자문위원으로 참여해 활동한다.
◆‘홍주(洪州)’지명 되찾자 군민 한마음
자문위원은 참여를 희망할 경우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출범식 및 세미나에는 명예회장으로 추대된 충청경제사회연구원 이사장인 조부영 전 국회부의장을 비롯해 홍문표 국회의원, 류순구 홍성부군수, 기관단체장, 군민 등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을 이뤘다.
이해준 공주대 사학과 교수를 좌장으로 해 진행되는 세미나에서는 청운대 김경수 교수가 ‘홍주지명 개명의 역사·문화적 의의’에 대해, 혜전대 김진욱 교수가 ‘홍주지명 개명이 행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제했다. 좌장을 맡은 이해준 공주대 교수는 “일제 강점기인 1914년 우리의 정신을 말살하기 위한 교묘한 정책으로 지명 개칭이 이루어졌으며, 때로는 지역의 갈등을 유발시키는 방법으로도 이용됐다”며 “이러한 저의를 불식시키기 위해 지역별로 개명, 합칭된 지명들이 본래의 지명을 찾고 있다. 이를 통해 고유한 지역정체성을 되찾아 재현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모습을 보면서 홍주도 그러한 지명 찾기 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수 청운대 교수는 “홍주라는 원래 지명으로의 복귀는 도시 정체성을 드러내는 일과 직결된다”고 강조하고 “조선시대의 홍성은 충청도를 대표하는 4개의 큰 고을 가운데 하나였으며, 행정·군사적으로 내포의 중심고을로 조선시대 충청도의 도명에도 반영되었다”고 밝히고 홍주지명 복귀를 위한 10가지 사항을 제안해 관심을 끌었다.
◆ 각계각층 의견 수렴 개명운동 추진
토론에 나선 이병학 전 예산교육장, 한건택 충남문화재전문위원, 조원찬 홍성여고 교사 등은 “홍주지명 변경이 늦어질 경우 연기군이나 조치원 등이 세종시에 먹혀들 듯 행정구역 명칭이 아닌 단지 신도시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 ‘내포’에 홍성이나 홍주가 먹힐 수 있다”고 지적하고 “우선 홍성읍만이라도 ‘홍주’로의 명칭변경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홍주지명 되찾기 범운동본부는 광복 70주년과 충남도청 이전 3년차이자, 홍성 개명 100년이 되는 올해 천년역사의 홍주지명 되찾기 활동을 본격화 해 홍주의 역사를 재조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병활동이 활발하고 항일정신이 강했던 홍주지역의 얼을 말살하기 위해 일제가 홍성으로 강제 개명시킨 것을 바로잡아 일제잔재를 청산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오석범 본부장은 “앞으로 운동본부는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홍주지명 되찾기 운동을 추진하고 각계각층의 의견을 모아 개명운동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 볼 때 2015년 홍성지역의 최대 화두는 ‘홍주지명되찾기’와 ‘홍주시 승격’을 위한 기반조성에 방점이 찍힐 듯 해 군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홍성=김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