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승지 · 이조판서 역임한 이극증

이극증(李克增, 1431년~1494년, 시호는 공장, 본관은 광주. 자는 경위, 호는 삼봉)은 조선 전기의 문신(文臣)으로 서울 종로구 신문로에서 출생했다.

이집(李集)의 증손이며, 이지직(李之直)의 손자고, 충희공(忠僖公), 이인손(李仁孫)의 아들이다.
1451년(문종 1년)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해 음보(蔭補, 조상의 덕으로 벼슬을 얻는 것)로 종묘서(宗廟署, 왕실 능원의 정자각과 종묘를 수호하기 위해 설치됐던 관서)의 녹사(錄事, 조선시대 중앙, 지방 관서의 행정실무를 맡은 서리와 경아전에 속한 상급 서리)가 됐다.

1456년(세조 2년) 식년문과(式年文科, 3년 마다 보던 정기과거)에 병과로 급제해 군기시(軍器寺, 병기의 제조 등을 관장한 관청)의 정7품 직장(直長)에 임명됐다.

1461년 청요직의 이조정랑(正郞, 문관 천거권이 있던 정5품 전랑) 1463년 성균관의 직강(直講, 조선 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에 소속된 정5품 벼슬로 박사와 더불어 강수의 임무를 맡고 있었음) 겸(兼) 의정부의 검상(檢詳, 조선시대 의정부의 정5품의 관직으로 정원은 1명이고 상위의 사인, 하위의 사록과 함께 실무를 담당하였고 죄인을 거듭심리해 검사하는 일을 함)을 거쳐 의정부의 정4품 사인(舍人)이 됐고,승정원의 정3품 당상관인 동부승지(同副承旨)를 거쳐 정3품 좌승지(左承旨)가 됐다.

1468년(예종 즉위년) 익대공신 2등에 책록되면서 광천군(廣川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승정원의 정3품 왕의 비서실장인 도승지(都承旨)를 거쳐, 1470년(성종 1년) 이조판서(判書, 정2품안전행정부 장관)에 올라 국가경비의 식례인 식례횡간(式例橫看)을 찬정(撰定)했다.

이듬해 좌리공신 3등에 녹훈됐으며, 호조판서와 전라도관찰사(觀察使, 종2품 감사)를 역임했다. 1482년(성종 13년) 의정부의 정2품 우참찬(右參贊)으로 정조사(正朝使, 명나라나 청나라로 정월 초하룻날 새해를 축하하러 가던 사신)에 임명돼 명나라를 다녀왔으며, 병조판서(判書, 정2품 국방장관), 지경연사(知經筵事, 경연청의 정2품 벼슬), 형조판서, 정부의 정2품 좌참찬(左參贊)을 지냈다. 1484년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성균관의 종2품)에 제수돼 문묘(文廟) 중수에 크게 기여했으며, 1488년 한성부의 정2품 판윤(判尹, 서울시장)이 됐다.

벼슬은 의정부의 정2품 좌참찬으로 숭정대부(崇政大夫, 종1품 동서반 문무관에게 주던 품계이며 종1품의 하계로서 숭록대부보다 아래 자리)에 올라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중추부에 둔 종1품 관직인 판사로 정원은 2명)에 이르렀다.묘소는 성남시 야탑동에 있으며, 1985년에 세워진 신도비(神道碑)의 비문은 김도련(金都鍊)이 지었다.

 

사신으로 명나라 다녀온 이극돈

이극돈(李克墩, 1435년~1503년, 본관은 광주, 자는 사고, 호는 사봉)은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이다. 서울 향교동에서 출생했다. 이집(李集)의 증손이며, 이지직(李之直)의 손자이다. 우의정(右議政,정1품정승)을 지낸 이인손(李仁孫)의 넷째아들로, 어머니는 노신(盧信)의 딸이다.

1457년(세조 3년) 친시문과(親試文科, 임금이 몸소 나와 시험을 보임)에 정과로 급제했다. 승문원의 정9품 정자(正字), 전농시(典農寺, 국가의 대제에 쓸 곡식을 맡아보던 관청)의 6품주무관인 주부(主簿), 사헌부의 정6품 감찰(監察, 대검찰청 검사),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필선(弼善, 세자시강원의 정4품),사헌부의 종3품 집의(執義, 대검찰청 검사장) 등을 역임한 뒤, 1468년(세조 14년) 중시문과(重試文科, 조선시대 당하관 이하의 문무관에게 10년마다 한 번씩 보이는 과거)에 을과로 급제하고 예조참의(參議, 정3품 차관보)에 올랐다.

이어 한성부의 종2품 우윤(右尹, 서울시 행정 부시장), 백관을 규찰, 탄핵하던 사헌부의 종2품수장인 대사헌(大司憲, 검찰총장)을 거쳐 1470년에 형조참판(參判, 종2품 법무차관)이 됐다. 이듬해에 성종 추대에 가담한 공로로 좌리공신 4등에 책록돼 광원군(廣原君)에 봉해졌다.

그리고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춘추관에 소속된 종2품 관직이며 춘추관의 다른 관직과 마찬가지로 타관의 겸직이었는데, 품계로는 종2품 가선대부 이상, 직책으로는 참판급 이상이 겸하도록 돼 있었음)로서 ‘세조실록’ 편수관(編修官, 춘추관의 정3품에서 종4품까지의 당하관으로 역사의 기록과 편찬을 담당하던 사관)으로 참여했다.

1474년(성종 5년) 성절사(聖節使, 조선시대 명나라 또는 청나라의 황제, 황후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로 명나라에 다녀온 후, 1476년에는 주청사(奏請使,사위나 책봉, 무역, 종계변정, 표류인 송환과 같은 변경의 일 등을 중국에 상주해 청하기 위해 파견하는 사신), 1484년에는 정조사(正朝使, 새해를 맞이해 중국으로 보내던 사신들을 통틀어 일컬으며, 정원은 정사, 부사 등 30여 인에 이름)로 또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