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 내 일선 학교들의 예산 회계처리가 여전히 미숙한 것으로 드러나 전문성 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일부 학교들은 아직도 특정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쪼개기식 사업 발주를 하고 있어 투명한 예산 집행을 위한 철저한 관리 감독이 요구된다.
11일 충남도교육청에 따르면 현장 행정의 최일선인 일선 학교들이 부적정한 예산회계처리 등으로 인해 상당한 교육 예산을 낭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도교육청은 지난해 자체 감사활동 벌여 220여 건의 지적사항을 적발했으며 이중 예산회계분야 처분 건수가 141건으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시설관리와 학사관리 분야는 각각 43건과 36건에 불과했다.
특히 일부 학교는 특정업체를 밀어주기 위해 사업을 분할해 수의계약으로 발주함으로써 예산의 과다지출을 초래하고 특혜의혹을 사기도 했다.
충남의 A 초등학교는 2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건강체력교실을 구축하면서 납품업체의 견적에 의존해 소요 물품을 시중가격보다 높게 구매했는가 하면 학생들에게 맞지 않는 성인용을 설치하는 바람에 관련 시설을 활용하지 못하고 사장시켰다.
B 초등학교는 지역교육지원청으로부터 3000만 원의 예산을 지원받아 개교 100주년 기념 화보집을 발간하면서 사업을 2회 분할 발주해 특정업체와 수의계약을 체결함으로써 예산을 과다 지출했다.
C 고등학교는 5800여만 원의 전산시설을 4회에 나눠 분할 품의하고 수의계약으로 구입함으로써 400여만 원의 예산을 더 지출하는 등 일선 학교들의 부적정한 회계처리로 인해 상당한 교육예산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선 학교들의 부적정한 예산회계 처리가 여전히 많은 것은 회계담당자들의 업무 미숙과 안이한 행정이 주원인인 것으로 분석돼 해당 업무담당자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일선 학교들이 특정업체를 밀어주기 위해 분할 발주하는 것은 교육재정 운용의 투명성을 위협하는 것은 물론 교육예산을 과다하게 지출시키는 등의 부작용이 있는 만큼 철저한 관리 감독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다.
충남교육청 관계자는 “일선 학교 회계 책임자들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련 교육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여전히 미숙한 부분이 드러나고 있다”며 “지역교육지원청과 해당 부서 등을 통해 관련 교육 및 관리감독을 강화해 투명한 회계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내포=이석호 기자 ilbolee@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