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소형 원전인 스마트(SMART) 원전이 해외 수출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과 사우디 왕립 원자력신재생에너지원(K.A.CARE)이 스마트 원전 건설 전 상세설계(PPE)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스마트 원전은 100㎿급 소형 원전으로 주요 기기를 하나의 용기 안에 배치한 일체형 원자로다. 배관이 없어 배관 파손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할 수 있어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번에 체결한 PPE 협약은 지난 3월 박근혜 대통령의 중동 순방기간에 서명한 스마트 파트너십 협약의 첫 번째 실질 협력 프로젝트로, 최근 상세설계 세부내용 등에 대한 협의가 마무리됐다. 스마트 파트너십 협약에는 스마트 원전을 건설하기 위한 사전단계로 상세설계를 공동 수행한 이후 사우디 내 스마트 원전 2기 건설 및 추가 건설, 제3국 공동 진출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양국은 PPE 협약에 따라 3년간 1억 3000만 달러(한국 3000만 달러, 사우디 1억 달러)를 공동 투자해 사우디 내 스마트 원전 건설을 위한 상세설계를 수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사우디 연구인력 34명을 대상으로 교육과 훈련을 실시하고 스마트 1·2호기 건설 준비 등에 착수할 계획이다. 특히 사우디 스마트 원전 건설 부지인 내륙의 특성을 고려한 공기 냉각 방식 등 새로운 원전 냉각방식을 도입하고 예비안전성 분석보고서와 사우디 내 건설 제안서 작성을 추진한다.
원자력연은 PPE 사업을 총괄하면서 원자로계통 설계와 사우디 연구인력 교육·훈련을 담당하게 된다. 원자로보조계통 설계와 핵연료 설계, 기기 설계 등에 대해선 협약 서명 후 3개월 내 주관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이번 PPE 협약이 체결됨에 따라 국내에 스마트 원전의 실증로를 건설하지 않고도 상용화 단계를 밟게 됐고 향후 세계 중소형원전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미래부는 기대하고 있다.
유주경 기자 willowind@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