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권석창 예비후보(제천·단양)의 공약인 ‘국립철도박물관 유치’가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국립철도박물관 후보지에서 빠져 있던 제천지역을 추가 신청하겠다는 답변을 충북도로부터 받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성과를 얻는데에는 같은 당 윤홍창 충북도의원도 힘을 보탰다.

◆ 지역경제 살릴 수 있는 절호 기회

국토부는 연면적 7만여㎡에 달하는 국립철도박물관(국비 1000억 원)을 짓기로 하고 지난해 10월부터 사전 타당성조사 및 최적 후보지 선정용역을 벌이고 있다.

오는 5월쯤 후보지 3곳을 발표한 뒤 용역이 마무리되는 10~11월쯤 대상지를 최종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철도박물관 입지조건은 접근성, 역사성, 철도관련시설과의 연계성, 장소성·상징성, 사업추진 용이성, 지자체의 적극성 등을 대상으로 선정한다.

전국 10여 개 지방자치단체는 현재 국립철도박물관 유치를 위해 뜨거운 경쟁을 펼치고 있다.

세계적 규모의 박물관이 들어서면 침체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기대 때문이다.

국토부는 2014년 9월 전국 시·도에 공문을 보내 철도박물관 입지 후보지를 추천받았다.

충북도는 같은 해 10월 국립철도박물관 최종입지 선정 가능성이 높은 후보지로 청주시 오송읍을 단수 추천했다.

‘철도완성차시험연구원, 철도종합시험소(2400억 원)’가 조성되기 때문에, 관련 인프라 등이 다양하다는 게 충북도의 추천 이유다.

◆ 교통의 요지이자 철도유물 산재

제천이 철도박물관 유치 지역에서 배제됐다는 것을 처음으로 안 것은 바로 권석창 예비후보다.

그는 지난달 15일 국토교통부를 찾아 “교통의 요지이자 철도의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제천에 국립철도박물관이 들어서야 한다”며 “제천은 철도인력이 풍부하고 철도유물이 널려 있는 도시로 철도박물관의 최적지”라는‘제천 유치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그 결과 충청북도로부터 추가로 ‘입지후보신청서’를 제출하라는 답변을 받았다.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윤홍창의원도 권 후보와 뜻을 같이했다.

그는 지난 3일 346회 도의회 임시회 1차 본회의에서 국립철도 박물관후보지 선정과 관련해 오송 한 곳만 추천하게 된 이유와 선정기준, 절차방법 등을 조목조목 질의했다.

또 내륙철도의 중심지인 제천을 국토부 국립철도박물관 후보지로 추가 신청할 것을 촉구했다.

마침내 충북도 조병옥 균형건설국장으로부터 국토부가 박물관 유치 신청을 받는다면, 제천을 추가 신청하겠다는 답변을 이끌어냈다.

권 후보와 윤 의원이 꺼져가는 불씨를 다시 살려낸 셈이다.

◆ 시민, 이 지사에 서운함 나타내기도

제천시가 국립박물관 지역에 포함된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시민들은 무척 반기는 분위기다.

자칫 신청조차 하지 못할뻔 했던 박물관 유치를 두 사람으로 인해 할 수 있어 “다행이다” 등의 반응이 잇따랐다.

김 모(44·두학동) 씨는 “제천시는 도내에서 철도산업이 가장 먼저 번성했던 곳이다. 철도박물관이 들어온다면, 반드시 제천시에 들어와야 하는 것이 맞다”고 했다.

시민들은 또 박물관 유치를 위해 제천시의 적극성을 주문하기도 했다.

강 모(53·고명동) 씨는“철도박물관 제천유치는 이근규 제천시장이 풀어가야 할 가장 중요한 현안사업이다”며 “뚜렷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자체의 적극성이 박물관 유치 점수에 크게 작용하는만큼, 시민 공감대 형성과 사회 분위기 확산을 위한 홍보와 서명운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반면 일부시민들은 절차 없이 오송을 선정한 충북도에 서운함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 모(33·하소동) 씨는 “제천이 철도관광산업도시로 부상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만약 제천 유치가 물거품이 된다면, 이는 이시종 도지사에게 모든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경고했다.

제천=정봉길 기자 jb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