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절차적 정당성 여부와 주민설명회
<글 싣는 순서>
1)수산물직판장 건립 찬반 갈등 현주소<6월 27일자 기사보기>
2)절차적 정당성 여부와 주민설명회
3)충남도와 태안군 및 정치권의 역할
태안 안면도 백사장항어촌계(계장 김형국, 어촌계)가 추진 중인 수산물직판장(직판장) 건립을 놓고 어촌계와 횟집, 숙박업 종사자들 간 갈등이 깊다.
태안군 관내 89개 어촌계 중 직판장이 없는 어촌계는 수년 전부터 직판장 건립사업을 첫손에 꼽고 있다. 항 주인은 어민들이기 때문.
그래서 어촌계는 자연산 바다 어종을 가공해 만든 건어물과 젓갈류 등을 판매하는 직판장 건립을 서둘고 있다. 정부도 어민 소득증대를 위해 직판장 건립을 적극 권장, 사업비를 지원 중이다.
반면 항 내의 일부 횟집과 모텔 등 숙박업 종사들은 직판장이 생기면 자신들의 영업에 방해가 된다며 반대다.
◆ 어민, 5000원짜리가 횟집선 10만 원
도의원 등 정치권의 물리력까지 가세, 더 꼬이게 만들었다는 게 어민들의 주장.
게다가 어촌계의 뚜렷한 사업계획에도 충남도는 민원해소 후 사업추진을 이유로 허가를 미뤄 사업기한에 쫓기던 어촌계는 최근 사업계획을 철회, 재신청을 서둘고 있다. 정치권력에 도의 수산행정이 휘둘리고 있다고 어민들은 불만이 크다.
지난달 13일 오후 3시 안면도수협 2층 회의실에서 주민설명회가 열렸다. 찬반의 주장을 요점, 정리했다. 논리의 정당성에 대한 독자들의 판단을 위해서다.
어촌계 계원 A(70·여) 씨는 “관광지에는 사람이 많이 몰려들도록 해 싼값에 질 좋은 수산가공품을 팔 매장이 있어야 관광지로서의 기능은 업이 된다. 농산물 직판장처럼 수산물도 직판장을 운영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B(여·54) 씨는 “비가 오나 눈이오나 고기잡이를 하지만 채산성이 낮아 빚에 허덕이고 있는 사실을 잘 알지 않느냐. 고기를 썰어 파는 난전이라도 펴 벌이를 하고 싶지만, 질서유지를 강조하는 계장은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는 장사를 못하게 말려 횟집 등에는 아무런 피해를 주지 않고 있다. 갖은 고생을 하며 잡는 고기를 어민들은 마리당 5000원에 팔면 횟집들은 그 고기로 10만 원을 벌어 번듯한 집에서 자가용도 굴리며 풍족하게 살고 있지 않느냐”며 글썽였다.
◆ 道·태안군 무능행정이 주민갈등 키워
C(남) 씨는 “배를 타고 전국의 크고 작은 항을 다 다녀 보았지만 백사장처럼 주말과 휴일 관광객이 많은 곳에 직판장이 없는 곳은 한 곳도 없다”며 “직판장이 생겨 관광객이 더 많이 모이게 되면 되레 숙박업 종사자들에게도 좋을 텐데 반대를 하는 이유가 뭔지”를 따져 물었다. 그는 대답을 하지 못했다.
횟집 주인 D 씨 “백사장에 국비를 들여 수산물 직판장을 건립할 게 아니라 진입로 포장 등 관광지로서의 인프라를 개선하는 게 우선”이라며 “수산물 직판장을 하다가 기회가 되면 회를 썰어 팔게 될 게 뻔해 반드시 직판장 건립을 막아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백사장항해수욕장 윤현돈 번영회장은 “원칙적으로 직판장은 있어야 한다”는 그는 “주민갈등 해소에 게을리 하고 뒷짐을 진 충남도와 태안군의 무능 행정이 오늘의 주민 갈등을 키웠다”며 “장소의 문제와 규모 축소가 이루어져 문제가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어촌계원으로 횟집도 하는 문병규 개발위원장은 “직판장이 생긴다고 해 횟집 수입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며 “화합할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태안=윤기창 기자 kcyoon21@ggilbo.com
서부본부=이수홍 기자 shong6500@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