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축산연구소 감염

충남 청양발(發) 구제역 공포와 관련, 당국의 허술한 방역대책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청양군 정산면 학암리 충남도 축산기술연구소에서 사육하던 돼지 2마리가 지난 1일 구제역에 감염된 것으로 최종 확인되면서 일반 농가가 아닌 공공기관의 방역체계조차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냈기 때문.올 초 경기 파주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한동안 소강상태를 보이다 지난달 강화에서 재발한 뒤 김포와 충북 충주를 거쳐 청양까지 중부권 전역을 순환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농림수산식품부 등 방역당국이 과연 구제역 확산 방지대책을 제대로 추진하고 있는지 여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충남 시·군의 일선 방역 현장에선 정부가 마련한 매뉴얼이 현실과 동떨어진 데다 인력과 장비도 충분히 지원되지 않아 고충을 겪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구제역이 발생한 직후에는 정부와 상급기관인 충남도 고위 관계자들로부터 ‘돈이 얼마나 들어도 좋으니 일단 확산을 막아라'는 지시가 하달되지만 대부분 공염불에 그치는가 하면 과거 경험으로 볼 때 사후에 예산의 적정 사용 여부에 대한 책임 추궁이 이어지기 일쑤라는 것.소·돼지 등 우제류(偶蹄類) 가축만 50만 마리로 사육두수 전국 1위인 홍성군의 경우 축산과내에 수의직 공무원 3명과 공익수의사 1명이 사실상 방역대책을 책임지고 있다.가축 사육두수가 가장 많은 만큼 공익 수의사와 담당 공무원을 늘려 달라고 수차례 건의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또 인근 청양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뒤 민간인 98명으로 각 읍·면별 공동방제단을 구성, 영세농가 위주로 방역소독을 벌이고 있지만 비전문가들로 구성돼 효과적인 방역에 한계가 있다. 1대당 3000만~4000만 원에 달하는 특수소독차량도 지난해 11대를 지원해 줄 것을 요구했으나 실제 3대만 지원됐고, 올해 2대가 배정됐지만 아직 보급되지 않은 상태다.장비와 인력부족보다 심각한 것은 현실과 맞지 않는 방역당국의 '탁상 행정'으로 기존 매뉴얼에 따라 지시를 쏟아내고 있지만 현장에선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 사례가 많다.예산군은 19개 방역초소를 운영하며 각 초소별로 민간인 인부 2명을 배치했지만 전문교육을 받지 않은 인부들이 차량을 통제하며 방역소독을 벌이는 과정에서 고충이 많고, 자칫 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최 일 기자 choil@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