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도룡동 스마트시티 내 컨벤션 복합 센터 잔여 부지(4-30번지 3필지) 매각이 겉돌고 있다. 해당 부지(5만 2788㎡)는 스마트시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 청산을 위해서 개발이 완료돼야 하는 곳으로, 사업계획서상 특급호텔도 들어서야 한다.하지만 지난해 말 사업기간이 완료됐음에도 해당 부지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외국계 투자회사인 LIL사 등 임자는 나타났지만 땅주인이 팔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땅주인은 토지를 제공한 LH를 비롯해 자본과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대우건설, 운암, 삼부토건 등으로 구성된 ㈜스마트시티. 특히 LH는 PF법인 주주 중 하나지만 사실상의 토지주로 지난해 말 PF사업 기관이 완료되자 스마트시티 측에 해당 부지를 비롯해 또 다른 부지(2만 6400여 ㎡)를 함께 매입해 줄 것 요구하고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업 기간이 끝난 만큼 LH는 잔여 재산 귀속이나 적잖은 금액의 이행 보증금 예치 등의 무기도 들고 나왔다.이에 대해 스마트시티 주주들은 이익 배당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추가 출자는 곤란하다는 입장이어서 매각에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지난해 LIL사와 스마트시티 측이 합의점 직전에 도달했던 지가는 약 425억 원. 부지 전체가 상업지역이지만 20% 가량(1만 1149㎡)은 의무적으로 호텔을 지어야하는 부지이자 고도제한(20층) 지역이어서 주변 시세의 1/3에 불과하다. 올 들어서는 국내 최대 스크린골프장비 개발업체인 G사도 매입의사를 내비쳤다.해당 부지에 대한 매각이 난항을 겪자 대전시도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인접한 대전컨벤션센터(DCC)와 연계해 전시·회의 산업(MICE)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호텔 건립이 꼭 필요하기 때문이다. 시는 이미 이곳에 200실 규모 이상의 특급호텔을 건립해 운영까지 할 업체를 대기시켜 놓은 상태다.시 관계자는 “공기업 특성상 원칙대로 진행해야 하는 LH 사정도 이해는 가지만 해당 부지에 대한 조속한 개발 완료를 위해서는 대승적 차원에서 스마트시티 측과 원만한 합의를 이뤄야 한다”면서 “최근 이와 관련해 2차 협조 공문을 LH측에 전달했다”고 말했다.한남희 기자 nhha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