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내포신도시권과 공주역세권의 장기 발전 방향이 담긴 도시계획이 완성돼 본격적인 착수를 앞두고 있다.

충남도는 내포신도시권과 공주역세권 광역도시계획을 확정, 30일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내포신도시권·공주역세권 광역도시계획은 도청 이전과 KTX 공주역 개통 등 여건 변화에 따른 낙후지역 균형발전과 충남의 새로운 도약에 초점이 맞춰졌다.

내포신도시권 광역도시계획은 서산·당진·보령·홍성·예산·태안 등 6개 시·군 3507.45㎢를 대상으로 2030년까지 추진된다.

미래상은 ‘도민과 함께 행복을 만드는 환황해권 네트워크 도시’이며 3대 목표는 ▲미래 성장과 행복을 여는 내포신도시 ▲해양과 내포문화권 연계 네트워크 도시 ▲환황해권 선도적 신성장 도시 등이다.

도는 내포신도시 활성화와 주변지역 공동화 방지, 광역시설 합리적 배치를 통한 연계·협력 기반 구축, 글로벌 해양·문화 관광 중심 육성, 자연과 공생하는 친환경 행복 생활권 조성,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통한 친환경 녹색도시 조성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환황해권 시대에 대응하는 교통 기반시설 구축, ICT 융복합화를 통한 산업구조 고도화, 농어촌 6차산업 활성화 및 정주여건 개선, 산업·물류 허브 구축을 통한 환황해권 교역 거점 육성도 전략으로 제시됐다.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3×3축’ 및 지선 축 연결 교통망, 호남정맥 및 금북정맥 등 주요 산줄기를 연결하는 녹지축과 연안을 보호하는 환경보전계획 등도 광역도시계획에 포함됐다.

공주역세권 광역도시계획은 공주·논산·계룡·부여·청양 등 5개 시·군 2584㎢가 사업대상이다.

도는 2030년까지 공주역세권을 ‘역사문화와 활력이 넘치는 KTX 상생도시권’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3대 목표는 ▲공주역세권의 성공적 조성을 통한 활력 넘치는 KTX 경제도시권 구축 ▲백제문화, 유교문화 등 옛 정취가 묻어나는 유네스코 역사문화도시권 형성 ▲산·들·강의 자연과 생명이 살아 숨 쉬는 친환경 생태도시권 조성 등이다.

세부 전략은 경제 및 교통 거점 형성, 지역특화 및 연계 발전, 백제왕도 및 유교문화 회복, 지역 자원을 활용한 관광 특화 및 활성화, 광역생태네트워크 형성 및 친환경적 활용, 매력적인 정주환경 조성 등이 제시됐다.

도는 또 공주∼공주역∼논산을 연결하는 남북축을 개발 주축으로 정하는 한편 특화산업 클러스터, 국도지선 지정, 지방도 선형 개량 등 광역교통망도 재편키로 했다.

두 광역도시계획과 연계해 발굴·반영한 전략 사업은 내포도시첨단산업단지 활성화와 공주역세권 행정타운 등 200여 개로, 총 사업비는 43조 103억 원 규모다.

도는 앞으로 두 광역도시계획을 해당 시·군 도시기본계획과 도시관리계획 등의 지침으로 활용토록하고, 간선도로나 철도망 구축 계획과 관련한 국비 지원 근거로 활용해 상생협력과 균형발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에 확정한 두 광역도시계획은 공간구조 설정, 교통망 계획, 발전축과 녹지축, 기반시설 계획 등을 담고 있다”며 “시·군 간 네트워크 형성과 기능 강화 등을 통한 낙후지역 균형발전에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한편 광역도시계획은 2개 이상 시·군에 대한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거나, 시·군 기능을 상호 연계해 적정한 성장 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최상위 도시계획이다.

내포=김혜동 기자 khd@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