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성남시장, ‘세종시=행정수도’공감대 형성
이춘희 시장, “수도권 시장이 수도이전 찬성은 의미”

“청와대와 국회 등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은 가능하다고 봅니다. 여야 대선주자 모두 공약으로 내놓지 않을까요.”

설 연휴가 시작된 지난 27일 지역기업인들이 모인 자리에서 식료품을 생산하는 K 대표가 ‘국회 세종 이전론’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폈다.

K 대표는 “제품생산 아이템을 적극 개발하는데 이어 주변 부지를 확장하는 등 나름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대다수의 기업인들은 K 대표의 주장에 대해 머리를 끄덕였다. 정치적 분위기에 동감한다는 반응이다.

◆ 행정수도 이전공약, 충청권 민심 요동

새해 벽두부터 정치권 이슈로 부상한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공약은 충청권 민심을 요동치기에 충분한 매개체로 등장했다는 것이 정가의 분석이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안희정 도지사의 공동공약에 이어 인명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성남시장까지 공식입장을 밝히는 등 유력 대선주자들이 행정수도의 세종시 이전을 대선 공약으로 내놓았다.

이에 이춘희 시장이 행정수도 이전을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발 빠르고 탄력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재명 성남시장의 ‘세종시=행정수도’ 입장과 관련해 이춘희 시장은 역시 즉각적으로 화답했다.

이 시장은 지난 24일 대전을 방문한 자리에서 “수도권 분산과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고 노무현 대통령의 세종시 행정수도 이전정책을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밝혔다.

수도권 성남시장이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을 찬성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강조한 이 시장은 “이재명 시장의 주장처럼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만드는 것은 시대적 흐름이고 국민적 염원”이라고 화답했다.

이 시장은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들마다 세종시 행정수도 건설을 공약으로 채택하고, 개헌안에 ‘세종시=행정수도’로 명시할 것”을 촉구했다.

◆ 이 시장, 헌법 개정 필요성 역설 협조 당부

지난 24일 오전 세종시청 여민실 4층에서는 대전시민과 세종시민, 공무원 등 300여 명이 참석한가운데 ‘세종시, 정치-행정수도 완성! 어떻게 할 것인가?’란 주제로 정책토론을 열었다.

이날 대전세종연구원, 충북연구원, 충남연구원 등 충청권을 대표하는 연구기관은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해 꼭 가야할 길’을 주제발표로 토론했다.

토론주제 가운데 “중앙정부는 국정운영의 컨트롤 타워로서 이미 한계에 도달, 국민은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 사태 시 갈피를 잡지 못하는 정부를 목격했다”며 중앙집권형 국가운영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 다양한 요구 수용을 위해선 지방으로의 분권과 협치를 통해 21세기 새로운 대한민국으로의 도약을 준비해야 한다”고 강변했다.

특히 2004년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해 위헌 결정에 대해서는 “국민의 상식이 바뀌었고, 관습법적 서울의 위치가 바뀌었다는 것을 헌재가 인정해 다시 판결 가능하다”는 주장을 폈다.

앞서 이 시장은 지난 18일 이주영 개헌특위위원장,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간사, 박병석 더불어 민주당 의원, 정용기 새누리당 의원 등을 만나 헌법 개정 필요성을 설명하고 협조를 당부한바 있다.

정가는 대서주자들의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 공약과 관련해 “강력한 후보로 손꼽히는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은 물론이고 더불어민주당 문제인 전 대표 등의 공약은 필연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유력 정치인들의 행정수도 관련 발언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충청권 설 연휴 민심은 비선실세 최순실 농단과 함께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과 관련한 내용으로 집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시장과 세종시도 대선주자들의 잇따른 공약과 헌법 개정을 통한 개헌 논의 등 대통령 선거에 적극 대응해 주목되고 있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