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환준 부의장 5분 발언서 "정권 바뀌면 또 뒤집어 질 수도"
충남도의회 유환준 부의장이 20일 충남도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예산 법제화와 정부 추진 의지에 대한 점검을 촉구했다.
유 부의장은 이날 열린 도의회 제243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 자유 발언에서 “앞으로 예산배분 문제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과학벨트와 세종시 문제가 국회에서 법적으로 제도화 되고 향후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도가)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과학벨트가 (충청권으로) 온 것은 사필귀정인데 무슨 새로운 정책이 온 것처럼, 새로운 선물을 받은 것처럼 ‘다행이다, 다행이다’라고 여기저기에서 환영의 메시지를 날리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라며 “정권이 바뀌면 언제든지 또 뒤집어 질 수도 있고, 예산배분 문제가 또 다시 변경될 수 있는 여지가 얼마든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연히 세종시 입주를 정했던 것을 (충청인들이) 세종시 수정안에 반대했다고 해서 옆에 있는 대전 대덕에 (거점지구를) 갖다 놓고 (세종시는) 기능지구라고 하고 있다”며 “그 예산을 보더라도 당초 3조 5000억 원에서 1조 7000억 원이 늘어난 5조 2000억 원인데 대전 대덕과 세종시, 청원군, 천안시에 모두 2조 3000억 원만 배정되고 나머지는 다른지역에 배정됐고 앞으로의 투자재원도 실체가 없는 상태”라고 지적했다.
유 부의장의 이런 발언은 과학벨트 거점지구 결정이 세종시를 빗겨간 것이 충청권 다른 시·도와 달리 충남도가 소극적으로 대응했기 때문이라는 어감을 풍겼다.
그는 안희정 충남지사에 대해 “3개 시·도의 공조가 겉으로 형식적인 공조지 내용상으로는 충남도의 실리는 하나도 없고 명분만, 이름만 하나 걸친 것”이라며 “(타 시·도는) 앞에서는 공조라면서도 뒤로는 TF팀을 구성하고 모든 인맥을 다 동원했기 때문에 대덕에 (과학벨트) 거점지구를 오게 하는 성과를 올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충남도는 치밀하고 획기적인 계획과 노력이 부족했고 ‘사돈 남 말 하듯’ 형식적인 공조에만 머물렀다”며 “앞으로 과학벨트라든지 세종시가 제대로 발전하려면 이번 일을 거울삼아 (도차원에서의) 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