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둔곡지구내 개발제한 구역 400만㎡해제 추진중
과학벨트 용지 160만㎡외 기업·지원시설 유치도 가능
대전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건설을 위한 개발용지와 관련, 기업 및 지원기능 용지공급에 차질이 없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과학벨트 건설을 위한 개발용지는 충분하며, 현재 수립중인 2030년 대전도시기본계획을 통해 여건변화 등을 반영해 관련 기업과 지원기능 용지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도시계획 지원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2020년 대전도시기본계획에는 개발제한구역을 포함해 1912만㎡의 개발예정용지 공급을 계획하고 있는 가운데,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낙점된 신동·둔곡지구에는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이 들어설 토지 공급이 언제든 가능한 상황이라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이중 신동지구는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위한 법적절차를 마치고 중앙도시계획위원회의 최종 심의만을 남겨두고 있어 과학벨트 입지에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시는 전망하고 있다.
또 시는 개발예정 1912만㎡를 포함해 자연녹지지역 중 미개발지, 개발제한구역 조정 총량 중 개발예정용지에 포함되지 않은 용지를 감안할 경우 공급 가능한 용지는 총 3100만㎡에 달해 도시기본계획을 통한 적정한 토지공급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울러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추진 중인 신동·둔곡지구 면적이 400만㎡로 과학벨트 용지160만㎡를 총족시키고도 남는 만큼 현재 대전입지를 위해 협의 중인 첨단기업과 지원시설은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이와 함께 시는 대전-세종시간 광역교통 연계를 위해 조치원선 확장, 지방도 608호선 신설, 신동지구와 경부고속도로 연결체계 구축 등 3개 광역교통노선과 대전-과학벨트-세종시를 연계하는 광역교통체계를 완비했다.
시 관계자는 “내년 5월까지 대전도시기본계획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번 기본계획 수립으로 세종시 건설, 과학벨트 입지 등 각종 여건변화에 대응함은 물론 도시성장관리와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공간구조를 마련하는 등 녹색환경도시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