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교육 많지만 참여율 저조
준비부족 창업, 실패사례 속출

경기불황이 계속되면서 생계형 창업에 나서는 이들이 늘면서 창업 실패의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 일자리 부족과 잠재적인 고용 불안 탓에 창업으로 눈을 돌리는 사람들이 늘고 있지만 의욕만 앞세워 시작했다가 낭패를 보는 사례들이 쌓여가고 있다.

바리스타가 돼 카페 창업을 꿈꿨던 양 모(27) 씨는 최근 꿈을 접었다. 그는 카페 대신 유일한 관심사였던 자동차에 눈을 돌렸고 두 달 전 자동차 오토필름 가게를 열었다. 그러나 양 씨의 고민은 더 커졌다. 먹고살기 위해 가게를 열었지만 관련 지식도 부족할뿐더러 이윤과 직결되는 경영과 관련해선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어서다.

이미 한 번 창업을 했다가 좌절한 이도 있다. 몇 년 전 이 모(52) 씨는 자신의 요리 실력만을 믿고 음식점을 창업했다가 금전적 손실만 보게 됐다. 창업 초기엔 비싼 재료 덕에 음식 맛이 일품이라는 소문을 들으며 반짝 호황을 누렸지만 이후 계속된 적자에 허덕이다 결국 폐업했다. 이 씨는 “질 좋은 재료만을 고집하다가 수익 대비 지출이 너무 많아졌다”며 “창업을 하면서 운영에 관한 고민을 하지 못한 게 결국 폐업으로 이어지게 됐다”고 말했다. 창업에 대한 전반적인 시뮬레이션이 결여된 결과다.

정부의 창업 지원 정책과 맞물려 다양한 창업 교육 프로그램과 지원 제도가 준비돼 있지만 열심히 하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이 앞서고 창업 교육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탓에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물론 창업 준비 과정에서 창업 후 경영 전반에 대한 고려보다 아이템 선정을 더 중요히 여기는 탓도 만만치 않다.

중소기업청이 지난해 발표한 ‘2015 창업기업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대전지역에서 창업 교육을 이수하고 창업한 이들은 15.4%에 그쳤고 창업까지 평균 준비기간은 9.1개월에 불과했다. 창업 결심부터 실행까지 속전속결인 셈이다.

이처럼 창업 후 실패 가능성을 덜기 위해선 창업 교육 이수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창업진흥원과 같은 창업 관련 지원기관이 운영하는 ‘상생 서포터즈 청년·창업 프로그램’, ‘창업 인턴제’, ‘신사업창업사관학교’ 등 다양한 창업 교육 프로그램들을 활용하면 창업 이후 경영에 보탬이 되는 마케팅 전략, 자금조달, 위기대응 등을 습득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프로그램별 차이는 있지만 창업 자금지원 혜택도 받을 수 있다.

이상헌 한국창업경영연구소장은 “고용불안, 일자리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생계형 창업자들이 늘게 돼 창업 교육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며 “예비 창업자들이 창업 실패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창업 준비 과정부터 실무적인 창업 교육을 받는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