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복지부 지침 시달 전망…12월 개소 목표 준비 잰걸음
<속보>=인구비례에 따른 불균형 초래 등의 우려를 낳던 치매안심센터 설립과 관련한 보건복지부발(發) 지침이 내주경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시달될 예정이다. 그동안 정확한 지침을 받지 못해 갈피를 잡지 못하던 대전시 등의 발걸음이 빨라지게 됐다. <본보 7월 11일자 7면 보도>
1일 시에 따르면 복지부는 내부 검토 등을 거쳐 내주 중 치매안심센터의 구체적인 규모와 예산, 인력 운용 방안 등이 담긴 지침을 시달할 예정이다. 앞서 복지부는 ‘치매안심설치 개요’를 통해 센터 건립 예산은 지자체당 7억 5000만 원, 인력은 평균 25명, 운영예산은 국비 80%, 지방비 20%(시비 10%, 구비 10%) 등을 안내했다. 그러나 센터 건립 예산과 관리 인력 등을 인구와 무관하게 차등없이 배정한다는 방침이 지역 간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복지부가 이 같은 문제를 얼마나 인식해 지침에 반영했는지는 미지수지만 지자체들은 속도전을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2월 개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인력채용 등 선결해야 할 과제가 만만찮기 때문이다.
치매안심센터는 그동안 각 자치구에서 자체 운영되던 치매상담센터의 기능이 확대 강화되는 것으로 기존 치매 상담·확진자 관리에서 치매예방, 전 과정을 케어하게 된다. 시 광역치매센터는 치매시설사업, 종사자 교육, 인식 개선 등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각 자치구는 보건소 직영으로 안심센터를 통해 지역주민 대상으로 초기상담 및 치매조기검진, 1:1사례관리 등 밀착 관리에 나서게 된다.
센터 개소에 앞서 자치구는 기존 치매상담센터의 확장으로 인한 장소 확보에 나서고 있다. 현재 5개구 중 서구만 기존 건강체련관 건물 내 사무실을 이전시켜 공간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자치구는 350~500㎡ 규모의 공간을 물색 중이다. 센터당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와 전담사례관리사 등의 전문인력 25명에 대한 채용도 급한 불이다. 단시간 채용이 녹록하지 않은 데다 고용형태 등은 지침을 열어봐야 알 수 있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없던 센터를 세우는 것이 아닌 기존 치매상담센터를 확대, 전문화를 강화하는 것이라 큰일은 아니지만 시의 추경편성이 9월이라 3개월이란 짧은 시간 내 준비해서 개소해야 하는 형편”이라며 "복지부·5개구와 협력해 센터 개소·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현석 기자 phs2016@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