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 대전서 노회도 가세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 선거가 금권선거 논란에 휩싸이며 한기총 해체 요구가 확산되는 가운데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 소속 대전서노회(大田西老會)가 이에 가세했다.
한기총이 지난달 특별총회를 열어 금권선거에 연루돼 직무가 정지됐던 길자연 목사를 대표회장으로 인준(표결에 참가한 대의원 267명 중 200명이 찬성, 임기는 내년 1월 정기총회까지)하자 이에 대한 실망감으로 한기총 탈퇴와 해체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개신교계는 한기총의 근본적인 변화와 쇄신이 없는 한 탈퇴·해체 운동이 가속화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고, 예장 통합 소속 목회자들은 최근 ‘한기총 탈퇴를 위한 예장 대책위원회’(대책위)를 결성했다.
대책위는 “작년 말부터 불거진 한기총 대표회장 선출 사태는 한국사회와 교계에 큰 충격을 안겨줬다”며 “지난달 7일 임시총회에서 문제의 당사자를 그대로 인준, 한국교회의 열망을 저버렸다”고 성토했다.
이어 “비난을 받는 한기총을 그대로 둔 채 개혁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개혁을 한다고 해도 이는 근본적인 해결이 아닌 임시 방편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같은 반발 분위기 속에 대전서노회와 경북노회, 대구동남노회, 경안노회, 강원노회, 서울노회 등 예장 통합 소속 11개 노회는 한기총 탈퇴와 개혁 등을 요구하는 헌의안(獻議案)을 공식 채택했다.
노회는 교단 내 각 교구 목사와 장로 대표들이 모이는 장로교 지역 기구로, 노회가 채택한 헌의안은 교단 총회에서 공식 안건으로 논의된다. 예장 통합 총회는 내달 19일 충북 청주 상당교회에서 열릴 예정으로, 서울노회의 경우 자성의 의미로 총회에 불참키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책위의 한 운영위원은 “한기총이 사회적으로, 교회적으로 물의를 일으켰는데 우리가 한기총에 속해 있다는 것은 이에 동조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며 “한기총을 권징(교회 윤리와 질서에 어긋난 행위를 한 자를 처벌하는 장로교회 제도)한다는 의미에서 탈퇴해야 한다. 11일 서울 종로5가 기독교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기총 해체 운동을 주도하는 ‘한기총 해체를 위한 기독인 네트워크’도 최근 ‘한기총 해체 촉구 100인 선언’을 잇따라 발표하는 등 한기총 해체 운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단체는 지난달 26일 목회자·평신도·전문인 100인 선언에 이어 이달 1일 기독교사 100인 선언을 발표했고, 청년 100인 선언, 목회자 100인 선언도 준비하고 있다.
기독교윤리실천운동 관계자는 “한기총만 비난한다고 해서 한국 교회가 바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한기총 사태는 권력과 돈 문제가 한꺼번에 표출된 것일 뿐이며 한국교회의 잘못을 개혁하는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