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소비자상담센터 교육비 의식조사

아산시 관내 유아시설별 교육비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유아교육비에 대한 부모들의 의식조사 결과 가정경제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1일 (사)대한주부클럽연합회 충남지회 아산소비자상담센터에 따르면 유아교육시설에 다니는 자녀를 둔 부모 300명을 대상으로 교육비 실태 및 시설 만족도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이번 조사는 유아교육비에 대한 부모들의 의견 교류 및 적정화 운동 전개의 필요성을 알기 위해 실시됐다.조사결과 유아교육시설 형태는 대부분의 자녀들이 사립시설에 다니고 있는 가운데 유아교육시설의 한 달 교육비는 30만~40만 원에 87명(29.6%)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50만 원 이상 57명(19.4%), 25만~30만 원 54명(18.4%) 순으로 민간보육시설의 고시된 보육료 22만7000원에 비해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응답자의 77% 이상이 유아교육시설 내 특기수업을 받고 있는 가운데 절반이 상이 영어를 배우고 이어 미술, 음악 순이며, 추가 비용의 특기수업 한 달 교육비는 5만~15만 원(63%)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이어 유아교육시설의 교육 및 시설의 만족도는 보통의 수준으로 조사된 가운데 특히 실외놀이터 및 미끄럼 방지시설 등이 시급히 개선돼야 할 시설물로 꼽혔다. 유아들의 필수과정으로 자리 잡은 유아교육비 지출이 가정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의 조사 결과 교육비 지출에 매우 부담스럽다(19.4%)와 비교적 부담스럽다(63.3%)로 경제적으로 상당한 부담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아울러 응답자의 73% 이상이 유아교육시설 외 다른 사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가운데 5만원~20만 원(60%)의 교육비를 들여 학습지, 음악, 영어, 미술 순으로 교육하고 있으며, 이는 자녀들이 하고 싶어 하거나(27.8%), 소질을 살리기 위해(27.8%) 또는 남들이 하고 있기 때문(22.2%)인 것으로 조사됐다.박수경 사무국장은 “유아 공교육체제 확립 및 사립시설은 투명성이 보장된 예산지원 등을 통한 유아 보호기능 강화, 교육시설 내 효율적인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사교육비 경감 등의 방향이 제고돼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