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내 16개 시·군의 절반을 넘는 10개 시·군에서 출생신고보다 사망신고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민 고령화와 인구감소 현상이 도내 상당수 시·군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얘기다.

이는 세수감소와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복지비용 증가, 지자체 재정자립 악화로 이어져 지역 존립기반을 크게 흔들고 있다. 일부 농촌 지자체의 생존 문제가 벼랑 끝에 섰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상진 의원이 통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269개 시·군·구의 사망대비 출생비율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이번 통계는 지난 2009년 기준으로, 2010년 발표된 수치다.

전국적으로 269개 시·군·구 가운데 10곳 중 3곳꼴인 89개 지역이 출생보다 사망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농촌의 저출산·고령화가 두드러져 주민연령의 도저농고(都低農高) 현상이 고착되는 모습이다.

충남도내에선 출생보다 사망신고가 많은 곳이 10곳에 달했다.
부여와 청양이 각각 0.49와 0.50의 사망대비 출생비율을 기록, 사망인원이 출생인원의 두배를 기록했다.

사망대비 출생비는 사망인원과 출생인원이 같은 ‘1’을 기준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지역이 젊어지고 낮을수록 고령화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당 지역의 미래 인구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이어 ▲서천 0.52 ▲예산 0.68 ▲금산 0.71 ▲태안 0.78 ▲홍성 0.81 ▲논산 0.85 ▲공주 0.89 ▲보령 0.90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군사도시로 인구유동이 많은 계룡시는 4.01를 기록, 도내에서 출생률이 가장 높았고, 인구 증가가 꾸준한 천안과 아산도 각각 2.94와 2.74를 기록, 전체적으로 젊은인구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충남도내 전체 인구 분석에선 1만 9257명이 출생한 반면 1만 3554명이 숨져 1.42의 사망대비 출생비를 나타냈다.

이는 전국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전남 1.02, 강원 1.16, 전북 1.18, 경북 1.14, 충북 1.39에 이어 하위 6위, 상위 10위 수치다.

농촌인구 노령화가 뚜렷한 도 단위와 달리 광역시의 젊은 인구 증가세는 두드러졌다.
울산이 2.56의 사망대비 출생비로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은 출생비를 기록한 가운데 경기도 2.52, 대전 2.34, 서울 2.31, 인천 2.09, 대구 1.65, 부산 1.32 순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대도시 내에서도 사망대비 출생비가 엇갈려 대전의 경우 유성구와 서구가 각각 3.54와 2.65의 수치를 보인 반면 중구와 동구, 대덕구는 각각 1.77, 1.80, 2.19를 나타내 신도심과 원도심 간 현격한 차이를 드러냈다.

이밖에 전국에서 사망대비 출생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수원시 영통구로 1명 사망시 5.35명이 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국에서 가장 수치가 낮은 지역은 경북 영양군과 예천군으로 1명 사망시 0.36명의 출생률을 기록했다.

신상진 의원은 “사망대비 출생비가 1이하인 지역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지원 하에 변화되는 인구구조에 따른 생존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