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당진 토착비리 시끌

향후 4년간의 지방 살림을 설계할 6·2 지방선거가 검은 커넥션으로 얼룩지고 있다. 선거판이 의혹과 비방으로 물들면서 정책선거에 대한 기대는 이번 선거에도 여지없이 무너지고 있다.공주지역 탄천지정폐기물사업 인허가 관련 사건이 토착비리 이슈의 신호탄으로 떠올랐다. 지금까지 시행사 대표와 로비 브로커, 시의원 등 8명이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된 상태다.문제는 이번 사건에 연루될 개연성이 큰 당시 선출직 공무원들이 이번 선거판에서도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데 있다.선거가 끝난 뒤 일이 터지면 또 다시 막대한 세금이 수반되는 재선거를 치러야 하는 만큼 지역 시민사회는 검찰의 발 빠른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토착비리의 결정판은 당진에서 나왔다.관급공사를 밀어주고 뇌물을 받았다는 감사원의 발표가 나온 뒤 민종기 당진군수는 ‘위조-도피-구속’이라는 자치단체장으로선 이해하기 힘든 행보를 보였고 급기야 한나라당은 당진군수 후보 공천을 취소했다.‘지방자치’의 부끄러운 단상은 여기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경찰은 충남 모 자치단체에서 벌어진 뇌물공여 사건에 지자체 공무원이 연루된 정황을 포착, 현재 압수수색 등을 통해 수사범위를 확대하고 있고 대전에서도 시의원 선거와 관련한 금품수수 사건에 대해 내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충남교육감 선거판도 진흙탕 양상이다.현직 교육감에게 금품을 전달하려다 교육감의 거부로 실패하자 ‘뇌물수수 사실을 폭로하겠다’며 돈을 요구한 협박범이 경찰에 구속됐는데 경찰이 돈의 출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경쟁 후보가 뒤에 있다는 의혹이 터져 나왔다.경찰은 이 사건이 충남교육감 선거에 미칠 파장이 크다고 보고 조만간 수사 결과를 발표해 뒷맛을 남기지 않기로 했다.시민단체 관계자는 “하루가 멀다하고 터지는 검은 커넥션 때문에 도대체 지방자치단체가 얼마나 썩어 있는 지 가늠하기가 무서울 지경”이라며 “사법당국은 현재 터져나온 의혹 사건을 선거 전에 마무리 해 투명하게 공개해야 하고 유권자는 이번 선거에서 후보의 도덕성을 검증하는 일을 빼놓아 선 안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