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하우스 개념 빈집 수백 곳 추정

<속보>=천동3구역의 빈집이 속출하는 것을 비롯해 대전 지역 하우스 개념의 빈집이 수백 곳, 아파트 등 빈집을 망라하면 수천 곳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어 대책 마련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역 슬럼화로 인한 빈집공포에 대한 우려가 들리는 가운데 지자체가 빈집 조사 및 철거와 관련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어 주목된다. <본보 7월 30일자 7면 보도>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기준 관내 하우스 개념의 빈집은 530동으로 조사됐다. 시는 지난 2005년부터 시책사업으로 폐가를 조사했고 지난 2015년 조사 후 이듬해 빈집을 철거하고 해당 부지를 꽃밭이나 주차장, 텃밭 개념으로 사용하는 정비사업을 진행해 왔다. 사업을 통해 올해까지 30동의 빈집이 정비됐지만, 수백 동으로 추정되는 대전지역 하우스 개념의 빈집 문제는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천동3구역을 비롯해 구도심에 빈집이 속출하며 해당 마을의 치안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또 빈집으로 인한 범죄노출은 물론 붕괴와 화재 우려의 목소리도 불거지고 있다. 특히 대전 동구와 중구는 빈집이 많아 빈집정비선도구역으로 지정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국토정보공사에 따르면 동구의 빈집 예상치는 2037호, 중구는 1508호 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국국토정보공사 관계자는 “예상물량과 전기 사용치 등을 통해 여러 알고리즘 통해 근사치를 추정했다”며 “대전 동구와 중구는 대전에서 빈집이 많은 곳에 속해 시 및 구와 협의해 빈집정비선도구역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지자체는 올해부터 내년까지 실태조사를 실시해 대전지역 빈집의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고 해당 정보 관리 계획을 세우는 등 문제해결에 나서고 있다. 올해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이 시행되는 등 빈집에 관한 제반여건도 마련되고 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빈집문제와 관련해 지자체에서는 지난 2005년부터 도시재생측면에서 접근했다. 당시 법과 규정은 없지만 ‘법률적으로 시행될 것’으로 보고 시책적 사업으로 진행된 것으로 안다”며 “(빈집 실태조사 등을 통해) 범죄 우려되는 부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마련 중이다 빈집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실용공간을 확보하고 시민들이 살아가는데 안전한 환경을 얻는 두 마리 토끼를 얻으려 노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