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2년 만에 수상자 배출 / 신용현 의원 R&D 운영 방식 개선 절실

<속보>= 노벨상의 계절이 돌아오면서 지난 1일부터 노벨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물리학, 화학상 등 노벨과학상 분야 발표가 모두 마무리된 가운데 이번에도 대한민국은 수상자 배출에 실패했다. 노벨과학상 단골손님인 이웃 일본에서는 2년 만에 또다시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탄생했다. <본보 9월 28일 자 1면 보도 등>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강국이라는 명성과 다르게 여전히 국내에선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하면서 국내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운영 방식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다. 노벨과학상 수상을 위해서도, 향후 국내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도 단기적 수익을 위한 연구보단 창의적이고 장기적인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연구 환경 조성이 시급한 시점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신용현 의원(비례대표)은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차례로 발표됐지만 아쉽게도 올해 역시 우리나라 과학자들의 수상은 이뤄지지 않은 반면 일본은 다시 수상자를 냈다”면서 “과학기술인들도 열심히 해야 하지만 우리 과학기술 R&D 운영 방식은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 시류를 좇는 연구를 해선 노벨상을 받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비교적 안정적인 연구 환경 아래 장기적인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일본과는 반대로 단기적인 연구 성과에 목을 매는 국내 과학기술계의 연구개발 운영 방식에 대한 지적이다.

신 의원은 “노벨상은 관심 있는 분야를 지속적으로 탐구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얻어내면 다른 많은 연구자들이 이 지식을 이용해 후속연구를 하고 그 후속연구의 성과가 축적됐을 때, 비로소 처음 발견자가 노벨상을 받게 된다”며 “지금 우리나라의 연구비 지원은 지원 기간 내 어떤 성과를 낼 것인지를 목표로 먼저 제시해야 하고 목표 달성을 타 연구자와 상대평가 하기 위해 논문, 특허, 기술료를 정량적으로 비교해야 하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런 방식으론 노벨상을 기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미 국내에선 PBS(연구과제중심제·R&D 과제를 배정할 때 연구기관 간 경쟁을 시켜 이를 따낸 기관에 연구에 필요한 인건비·간접비 등을 주는 방식) 제도 등으로 인해 하나의 연구에 집중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이 아닌 당장의 수익성을 위해 한 연구원이 많게는 5개 이상의 연구를 전담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 의원은 “보다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장기적으로 할 수 있도록 연구관리제도, 특히 평가관리 제도는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 과학기술계도 연구윤리를 자체 정립해 국민들에게 신뢰를 줘야만 자율성을 부여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노벨상을 목표로 삼기보다 노벨상이 나오는 연구 풍토를 만드는 데 정부와 과학기술계가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일성했다.

강정의 기자 justice@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