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광장, 지하철 노선도 어떻게 바뀌나?

광화문 광장

서울 광화문광장이 오는 2021년 3.7배 가량 넓어진다. 

서울시는 21일 이런 내용을 포함한 ‘새로운 광화문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광화문광장의 미래 청사진인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을 발표했다. 

당선작은 70대 1의 경쟁률을을 뚫은 ‘Deep Surface(과거와 미래를 깨우다)’로 CA조경, 김영민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 ㈜유신 ㈜선인터라인 건축이 제안했다. 

서울시는 새로운 광화문 광장의 기본 방향을 ‘역사성·시민성·보행성’에 초점을 맞췄다. 당선작은 이 같은 기본방향을 반영해 세종문화회관 앞 차로를 광장으로 편입해 지상 광장규모를 현재보다 약 3.7배 확장하도록 했다. 

이에 현재 10차선인 세종로가 6차선으로 좁아진다. 

경북궁 전면에 약 3만6000㎡ 규모의 역사광장이 들어서며 역사광장 남측으로 약 2만4000㎡의 시민광장이 조성된다.  

지상과 지하는 선큰(sunken)공간으로 연결해 서울 도심 역사문화경관의 핵심인 경복궁~북악산의 한국적 경관을 재구성한다.  

서울시는 내달 설계계약을 체결해 연내 설계를 마무리하고 내년 초 공사에 들어가 2021년 준공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는 서울시와 정부예산이 총 1040억원 투입되며 서울시와 문화재청이 각각 669억원, 371억원을 분담하게 된다. 

이와 함께 광화문 광장을 포함해 세종로 등 광장주변 지역의 공간을 재편한다.  

서울시청까지 이어지는 공간을 활용해 GTX A(파주운정~서울~화성 동탄)의 광화문 복합역사 신설을 추진한다. 

광화문 복합역사 신설이 결정되면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선(용산~고양 삼송) 등 광역철도 노선도 추가로 정차하도록 추진한다. 

지하보도로 연결되는 광화문역~시청역에 총 5개 노선(GTX-A, 신분당선 서북부 연장선, 1·2·5호선)을 환승할 수 있는 대규모 복합역사가 완성되는 것이다. 

서울시는 연내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국토교통부와 민간사업자인 에스지레일 주식회사와 협의에 들어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