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 충남·충북 일제 잔재 청산 바람
대전·세종 교육현장선 특별한 움직임 없어 대조적
교육 현장이 일제 잔재 청산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가운데 충청권에서도 관련 움직임이 일고 있다.
충남과 충북교육청이 관내 학교 친일 잔재 정리와 역사교육 강화를 위해 친일인명사전 보급 계획을 수립하는 등 과거사 청산에 집중하는 것이 그렇다. 예년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대전·세종과 조금 다른 모습이다.
요즘 교실에선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한 의지가 가득하다. 충남교육청은 최근 지난해 12월부터 2개월간 관내 초·중·고교를 대상으로 식민 잔재를 전수조사하고 일본인 교장과 일장기 및 칼을 찬 교사 사진을 게시한 경우 철거토록 했다.
특히 학생생활규정에 식민 탄압과 순종을 위해 강요된 일부 항목과 친일파 작곡 교가 등도 수정 및 교체를 권고하는 등 대대적인 과거사 청산에 나섰다. 충북교육청도 역사바로세우기추진단을 구성해 미래 100년 학교문화 개선 캠페인을 전개하기로 하고 친일파 작곡 교가부터 의식, 단어, 표현, 행정용어, 교과서 속 친일 내용 등 숨어있는 일제 잔재를 찾아 교실의 과거사를 정리할 계획이다.
반면 대전과 세종 교육 현장은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년을 맞는 역사적 흐름의 분기점이 될 올해를 예년과 다르지 않게 보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1월 충청권 4개 시·도교육청이 독립기념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독립운동 역사교육 한마당, 독립운동 역사동아리 탐방, 국외 독립운동사적지 탐방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 말곤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전에선 일부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는 친일 잔재 전수조사나 100주년 기념사업 등은 실시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설동호 교육감은 25일 열린 간담회에서 “충청권 교육청과 합동으로 역사교육 한마당을 개최하고 관내에서도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철저히 되새길 수 있도록 국가의 중요성, 나라 사랑의 의미를 계승·승화시키는 교육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면서 “일제 잔재의 경우 현재 대전에 남아있는 학교가 그리 많지 않을 것으로 보는데, 교육청이 나서기보다 학교 차원의 조사를 하고 구성원 논의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라며 원론적인 수준의 언급에 그쳤다.
2009년 민족문제연구소가 학생들에게 잘못된 역사가 되풀이돼선 안 된다는 점과 역사적 진실을 올바르게 가르치기 위해 일제의 한반도 침략을 지지·찬양하거나 독립을 방해하고 수탈·강제동원에 앞장선 것으로 파악한 4389명의 친일행적이 상세하게 수록된 친일인명사전의 학교 보급도 난항이다.
충남과 충북교육청이 자체 조사를 통해 보급 계획을 세운 것과 달리 대전과 세종에선 이마저도 별도 논의를 하지 않고 있고 있다. 대전교육청 관계자는 “3권 1세트에 권당 10만 원 꼴이라 이를 교육청이 일괄 구매해 보급하기엔 예산이 많이 소요된다. 필요하다면 학교에 배정된 예산 범위 내에서 구입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준섭 기자 ljs@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