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관 건립, 표지석 등 적극 검토해야

3·8 민주의거의 국가기념일 지정은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없이 이뤄낼 수 없었다. 그날의 주역들로 구성된 3·8기념사업회는 각종 기념사업과 3·8민주의거 관련 책, 3·8민주총서를 때 마다 발간하며 3·8 민주의거의 역사를 알리는 데 힘써왔다.

그들이 수집하고, 기록한 역사는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3·8 민주의거의 역사적 해석을 이끌어냈다. 조성남 대전고100년사 편찬·집필위원은 대전시민대학 시대읽기 특강 교육논문 ‘3·8민주주의 의거의 역사적 함의’를 통해 “100년 도시 대전 역사 속에서 3·8 민주의거를 재조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전 학생운동의 발자취를 살펴보면 대전은 의인, 열사가 끊임없이 배출된 유학의 본거지로, 정신적 자산이 이어져 현재까지 이어져왔다는 설명이다.

논문에 따르면 대전공립상업보습학교는 광주항일학생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된 1930년 1월 중순부터 항일운동의 하나로 동맹휴학을 계획하고, 전교생이 일제히 학교를 뛰쳐나왔다. 전국에서 검거한 ‘조선인 학생을 석방하라’ 등 4개 항의 결의문을 외치며 지금의 인동사거리까지 행진했다. 또 경성중학교 대전분교실로 개교한 대전중학교(지금의 대전고등학교)에서 조직된 선우회는 항일운동의 선두에 섰고, 군시제사대전공장 파업과 대전중학교 학생반 삐라살포사건 등은 3·1운동 이후 축적된 학생들의 항일의식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했다.

특히 3·8 민주의거는 과거 일제 식민도시였던 대전이 당국의 눈치를 보는 타율적인 시민에서 스스로 민주주의를 의식한 시민의식이 싹튼 중요한 계기가 된 사건이라고 봤다. 이때부터 정치의식이 높아졌고 4·19혁명에서 대전고 출신 손중근, 고병래, 이기태 세 사람이 고귀한 목숨을 바치며 역사의 중심에 섰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그는 “대전이 역사가 일천한 도시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근대도시 또는 현대사의 굴곡에서 숱한 역사를 세운 도시라는 자원으로 삼아야 할 시점”이라며 “3·8 민주의거 기념탑과 함께 기념관 건립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선영 기자 kkang@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