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수급 결정 문인 한 명도 환급 안해
“실수일 뿐, 환급 고민 필요”등 반응

원로예술인 창작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향토예술인창작활동지원사업’에서 문인 7명에게 보조금 부정수급 결정 후 환수조치가 통보되고, 환수 완료기간이 보름이나 지났지만 아직까지 아무도 환급하지 않은 것을 드러났다.

15일 향토예술인창작활동지원사업 조사위원회 등이 조사한 지난 2017~2018년도 사업 보조금 조사 및 조치내용에 따르면 2년 연속 향토예술인 지원사업 문학분야 선정자 중 보조금 부정사용이 적발된 문인은 7명이다. 조사위원회 등은 지난 2월 14일과 26일 2차에 걸쳐 이 사업에서 2년 연속 지원받은 선정자 중 사업결과물(발간물)을 비교 분석해 지원 신청 당시와 상이한 내용 및 2년 동안의 결과물 간 중복 여부를 검토했다. 1차 조사 결과, A 시인은 2018년 발간 작품집의 수록 작품 84편 중 12편의 작품이 2017년 작품집과 같았다. B 소설가 역시 2018년 발간작품집 수록 3편 중 2편의 작품이 지난해 지원을 받아 낸 발간작품집의 작품과 같은 것이 밝혀졌다. C 시조시인의 작품은 92편 중 무려 90편의 작품이 같기도 했다. D 수필가 역시 74편 중 4편이 중복됐고, E 시인도 84편 중 2편이 중복 게재됐다. 모두 향토예술인창작사업으로 대전문화재단으로부터 2년 연속 각각 200~260여 만 원씩 보조금을 지원받았다.

2차 조사에서는 추가로 1명이 더 드러났다. F 수필가는 자신이 2001년 출간 작품에 수록했던 작품의 1/4 분량을 2017년 발간작품집에 중복 수록했다. 이 가운데는 작가 본인 시집의 시를 2017년 발간작품집에 10편 중복 게재했고, 2018년에 2017년 보조금을 받아 펴낸 시집 21편을 중복 게재하는 등 두 가지 부분에 모두 적발된 문인도 있었다.

조사위원회는 해당 문인들에게 각각 소명서를 받아 소명 내용을 충분히 검토했으나 전액 환수 결정과 제재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7명의 원로 문인들은 보조금을 모두 환급해야하고, 향후 3년 동안 대전문화재단 지원사업을 신청할 수 없으며 발간한 작품집을 자진 회수 및 폐기해야 한다. 문제는 지난달 29일까지 조치가 완료됐어야 할 보조금 환수조치에 보름도 더 지난 현재까지 아무도 응하지 않았다는 거다.

환수 대상자 중 한 문인은 “누가 봐도 잘못했다는 것은 알지만 환수조치는 너무한 것 같다”며 “나 같은 경우는 출판사에서 잘못된 파지가 들어간 것인데 시선집이라는 단어만 들어갔어도 이렇게 되지 않았을 거다. 명예라는 게 있어서 환수까지 고민을 더 해야할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문인은 “몸이 아파서 당장 말할 수는 없으나 7명의 입장을 다 들어보고 환수를 할 지 여부를 결정해야할 것 같다. 조만간 결정을 하겠다”고 말했다.

지역 문화계 일각에선 원로들의 선택에 실망감을 토로한다. 한 지역 문화계 인사는 “창작 활동에 자존감을 갖고 정직하게 창작활동을 하는 전체 문인들이 오명을 쓰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며 “원로 선생님들께서 책임있는 선택으로 다시는 이런 일이 없게 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바랐다.

 

강선영 기자 kkang@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