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리지(擇里地)에 나타나는 충북 충주는 청주에서 동북쪽으로 100여 리 되는 지점에 있다.
한양에서는 동남쪽으로 300여 리 되는 곳에 있으며 청주에서 청안의 유령(楡領)을 넘어 괴산을 지나 달천을 건너면 충주가 있다. 속리산의 물은 북쪽으로 청주 산동에 이르러 청천(靑川)이 되고 괴산에 이르러서는 괴강(槐江)이 되며 충주읍에 이르러 달천이 됐다가 다시 북쪽으로 금천 앞에 이르러서는 청풍강과 합해진다.
충주는 한강 상류에 위치하여 수로(水路)로 왕래하는 데 편리하므로 서울의 사대부가 오랫동안 이곳에 많이 살았다. 사대부의 정자가 많고 의관을 갖춘 사람들이 모여들며 배와 수레들 또한 많이 모여든다.
국도(國都)의 동남쪽에 위치하면서 한 고을에서 등과하는 자가 많기로는 팔도 여러 읍에서 제일이다. 경상좌도와는 죽령을 넘어 통하고, 경상우도는 조령을 넘어 통하는데 그 두 고개의 길이 모두 충주 고을을 통하므로 물길 또는 육로로 한양과 통하게 된다.
그런 까닭에 경기와 영남을 잇는 요충지어서 유사 시 반드시 격전지가 되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이곳은 살기(殺氣)가 강하고 태양의 빛도 없으며 지세가 서북으로 빠지면서 흐르기 때문에 정기가 쌓이지 않으므로 백성은 많으나 부귀한 자가 적고 항상 구설이 많아 경박해 살 만한 곳이 못된다고 했다.
충주의 서쪽 달천을 지나 속리산 북쪽의 한 갈래가 음성현 서쪽에서 우뚝 솟아 가섭산(迦葉山)과 부용산(芙蓉山)이 된다. 한 갈래는 금천에서 명당을 만들고 다른 한 갈래는 가흥(嘉興)에 자리한다. 이 땅들은 오곡과 목화 재배에 알맞고 토지가 매우 기름져 산이나 계곡에도 마을이 발달하고 부유한 자가 많다.
금천은 마을 앞에서 두 강이 합쳐 마을의 북으로 돌아가므로 동남쪽으로는 영남의 화물을 받아들이고 서북쪽으로는 한양의 어염을 공급 받아 이를 교역하는 여염집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고을을 이루고 있다. 가흥은 금천 서쪽 10여 리 되는 곳에 있는데 강은 동남쪽에서 서북쪽으로 흐르고 마을은 남쪽 기슭에 있다.
조정에서는 이곳에 조창을 두어 영남의 일곱 읍과 충청의 일곱 읍의 세곡을 거두고 수운판관을 시켜 뱃길로 서울에 실어 나르게 했다. 주민들은 객주업을 하면서 곡물의 출납 시 중간에서 이익을 챙기며 장사를 해서 큰 이익을 본다. 또 두 마을에는 과거를 통해 높은 벼슬을 지낸 집안도 많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