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의 산세가 한반도의 남쪽으로 뻗어 속리산에서 남쪽으로 내려온 산줄기는 화령(火嶺), 추풍령(秋風嶺)이 됐는데 시냇물과 산이 그윽한 풍치가 있고 모두 낮게 평평해 살기에 적당하다.

더 아래로 내려오면 덕유산(德裕山)이 나타나는데 동쪽에는 거창군 북상면이 소재하며 북쪽에는 무주군 무풍면과 설천면이 있다. 덕유산은 흙산이고 그 위쪽에는 구천동(九泉洞)이 있어 시냇물과 돌이 아름답다. 그 아래에 있는 적성산성은 성 주위에 모두 돌 벽이 치마와 같이 둘러쳐져있고 위는 평평하여 조정에서 사기(史記)와 실록(實錄)을 보관했다. 또 바깥쪽은 온 산이 비옥하여 부자 마을이 많으니 속리산 위쪽의 산들에 비할 바가 아니게 좋다고 했다.

덕유산 아래 남해(南海)에 가까운 지리산(智異山)이 있는데 이는 백두산(白頭山)의 큰 줄기인 백두대간이 다한 곳이라 두류산(頭流山)이라고도 한다. 지리산 속에는 백 리나 되는 긴 골짜기가 많은데 밖은 좁고 안쪽은 넓어서 사람이 알지 못하는 곳도 있다. 남쪽 바다에 가까워 기후가 온난하고 땅이 기름져 농사가 잘 돼 생업에 이익을 주므로 부산(富山)이라 부른다고 했다.

이상에서 백두대간의 중요한 산인 금강산,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 등 8대 명산을 살펴봤다. 한반도의 중심 산맥으로 이 산줄기로 인해 물줄기가 각각 동서로 나누어져 동해 바다의 물줄기와 서해 바다의 물줄기로 분리됨으로써 백두대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택리지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추풍령과 덕유산 사이의 삼도봉은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를 가르는 산줄기가 있으며 금강과 낙동강을 구분하고 있다. 또 덕유산과 지리산 사이에 위치하는 영취산은 경상도와 충청도, 전라도를 구분해 각각 낙동강, 금강, 섬진강의 물줄기를 형성한다. 이는 속리산이 충청도, 경상도를 구분하고 한강, 금강, 낙동강의 물줄기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변곡점으로 풍수상 중요한 위치를 갖게 된다.

백두대간에서 3곳의 강을 형성하는 변곡점이 두 곳이 있는데 속리산과 영취산이다. 여기의 물들은 각기 한강과 낙동강, 금강, 섬진강을 형성해 각각 동해와 서해, 남해 바다를 이루게 되며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를 아우르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여기의 물줄기 중에 육지의 내부로 흘러 오직 한 곳으로 모여드는 물줄기가 있으니 바로 대전, 세종을 휘감고 흐르는 금강물이다. 따라서 이 금강의 물은 남한 내륙의 중심부에서 시작돼 계룡산을 감싸 안고 돌아감으로써 산태극, 수태극을 형성하니 풍수사가 한반도의 최고 명산이라 함은 충분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풍수적으로 계룡산은 백두대간이 보호하는 최고의 명당 위치에 있으므로 이에 대전, 세종, 충청인은 시대적 사명과 역할을 인식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