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허위 정보 넘쳐
단속 교묘히 피하기도
자체 정화한다지만 역부족

요즘 대세라 할 수 있는 유튜브가 늘어나는 불법·허위 정보로 된 영상들로 질타를 받고 있다. 누구나 쉽게 영상을 올릴 수 있다는 점이 양날의 검처럼 작용한 거다. 자체적으로 영상을 심의해 콘텐츠 삭제 등 노력하고 있으나 양이 워낙 방대하고 기준도 모호하다는 지적이 따른다.

유튜브 내 사용자 수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그에 따른 명암이 두드러지고 있다. 새로운 정보 전달이나 소통 창구 역할 등 공익적 역할도 톡톡히 해내고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잘못된 정보나 영상 역시 넘쳐나고 있는 거다. 1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유튜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접속 차단 시정요구 건수는 1125건으로 집계됐다. 1분기에만 채널 283만개, 영상 829만개, 댓글 2억 2834만개가 유튜브에서 삭제됐다.

급격한 성장만큼 부작용이 뒤따르고 있는 거다. 자율규제로 운영되다 보니 욕설, 폭력, 도박, 음란 방송이 무분별하게 쏟아지고 있다. 모니터링이나 단속을 강화하는 등 자구책을 내세웠지만 수익구조가 기존과 다르다 보니 일부 크리에이터들은 만취운전 생방송처럼 한층 더 자극적인 소재로 소비자들을 유혹하기도 한다.

허위정보 역시 걸러지지 않는다. 유튜브 특성 상 누구나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어 미디어 사업자, 정치인, 정당뿐만 아니라 개인 역시 홍보채널로 사용하고 있다. 자유롭게 영상을 만들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편협한 내용이 들어가기도 해서 자칫 그릇된 가치관을 퍼뜨릴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 예로 식민사관을 당당하게 말한 유튜버를 들 수 있다. ‘일제시대 삶이 조선시대 삶보다 나았다’는 식의 자극적인 내용을 영상으로 배포한 것. 유튜버들의 이러한 역사왜곡과 논리는 수십만 구독자들의 입을 통해 그대로 유포되고 있다. 과거 극우 보수 커뮤니티였던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의 몰락 이후 일부 이용자가 유튜브로 옮겨 가 잘못된 사고의 영상을 만들고 있다는 것도 논란거리다.

문제는 그 양이 너무 많다는 거다. 불법 콘텐츠의 경우 유튜브 측에서 삭제하지만 모든 분량의 내용을 일일이 확인할 수 없고 기준도 자체적이다 보니 어떤 내용을 불법이라고 콕 집어내기도 모호하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유튜버들의 ‘불법 썰’ 영상이 그렇다. 해당 영상들은 자신의 과거 경험했던 불법적인 내용을 말하거나 방법들을 알려주기도 하는데 여과 없이 올라와도 관리 차원에서 제재할 방법이 없다. 직접적인 불법행위를 담고 있지 않고 있어서다.
자체적인 노력으로 정화하려 하지만 역부족이란 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법을 따르지 않는 구글이라서 불법·유해 콘텐츠 유통에 틈이 있다. 이를 일일이 확인하긴 힘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방심위 한 관계자도 “분당 400시간에 달하는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온다. 2시간 분량 영화 200편이 60초마다 추가되는 셈”이라며 “구글과 협력하며 불법·유해 콘텐츠를 차단하려 노력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내용을 살펴보긴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송승기 기자 ss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