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안에 궁궐을 세우도록 지시한 태조 이성계

 
만인산의 태조대왕 태실. 금강일보 DB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 역시 정치기반 확립에 유효적절하게 풍수를 도참사상과 함께 결부하여 큰 영향을 받았다. 이뿐만 아니라 역성혁명을 통해 새로운 정권을 창출했으나 나라 이름을 새로이 정하기도 전에 나라의 도읍을 결정해 새로운 시대를 열기를 갈망했다. 당시 후보로 거론됐던 한양(漢陽)의 북한산, 공주의 계룡산(鷄龍山)과 고려의 도읍인 개경(開京) 등의 풍수적 입지에 관한 당대 풍수지리가들의 논쟁은 뜨거운 감자로 부각됐다.

태조는 즉위와 함께 우선 도읍을 한양으로 옮길 계획과 함께 풍수사 권중화를 통해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명당 터의 물색을 지시했다. 이에 명을 받고 강원도를 시작으로 영남, 호남, 충청의 삼남지방을 고루 다녀온 후 계룡산 아래 신도안을 도읍과 동시에 진산(지금의 금산 만인산)에 이태조 태실을 천거했다.

이에 태조는 왕사(王師)인 무학대사와 최고 측근인 정도전과 문무백관을 거느리고 친히 계룡산을 답산(踏山)해 신도안에 궁궐을 세우도록 지시해 1년간 작업이 진행됐다. 그 와중에 갑자기 궁궐 공사가 중단됐다. 이는 태종 이방원의 최고 측근인 하륜의 신도안에 대한 풍수를 반대하게 됐고 마침내 한양의 터로 정해지게 된다.

한양 대궐터의 방향인 좌향(坐向)을 놓고 불교계를 대표하는 무학대사와 유교와 신진사대부를 대표하는 정도전과의 논쟁이 있었다. 대궐 터를 감싸는 주산(主山)의 위치를 무학대사는 인왕산으로 봤고 정도전은 지금의 경복궁인 북악산을 지목했다.

이에 유교국가의 이념 확립을 위한 정도전이 승리함으로써 불교적 사상은 자연적으로 뒤로 물러나게 됐다. 조선의 시작과 함께 고려의 수구 세력은 개경을 지목했고 풍수계를 대표해 계룡산 신도안을 지목, 유학을 대표하는 한양의 경복궁 터인 삼파전 논쟁은 한양 도읍으로 최종 결말을 맺게 됐다.

조선시대의 풍수사상은 양기(陽基) 위주의 도읍풍수로부터 시작돼 시대의 흐름에 따라 사회가 안정화됐고 효(孝)의 관념이 적극적으로 부각되면서 점차 음택 위주의 묘지풍수로 전환됐다.

그러나 세종이나 성종 때까지는 합리적인 양기풍수가 간헐적으로 논의되기는 했다. 예컨대 북악산(北岳山)과 취운정(醉雲亭) 내맥(來脈)을 둘러싼 국도 주산 논쟁과 명당수(明堂水)인 청계천(淸溪川)의 오염문제 등을 논의했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