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는 가락국 허황후의 33대손

(사)뿌리문화 이사장
하양(河陽)은 경상북도 경산의 북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려때 하주(河州), 1018년(현종9)에 하양(河陽)으로 개칭하였으며, 1742년(영조18)에 화성현(花城縣)이 됐다가 1895년(고종32)에 하양군(河陽郡)으로 바뀌었고 1973년 읍(邑)으로 승격했다.
하양허씨(河陽許氏)는 고려때 호부낭장(戶部郞將:정6품)을 역임한 허강안(許康安)을 시조로 받들고 있다. 문헌에 의하면 허강안은 가락국(駕洛國) 허황후(許皇后:황옥)의 33세손이다. 그는 호장(戶長:고을 아전의 맨 윗자리)을 지냈으며 하주(河州)에 정착하여 살았다고 한다.
그래서 후손들은 본관을 하주(河州)로 해 세계(世系)를 이어오다 지명이 개칭됨에 따라 화성(花城)으로 개관했으며 그 후 하양(河陽)으로 하고 있다.
역사에 기록된 인물을 보면 시조 허강안(許康安)의 손자 허작린(許綽麟)이 고려에서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종3품 검교는 명예직)을 지냈으며, 증손인 허신(許愼)은 호부주사(戶部主事). 동정(同正, 고려때 6품 이하의 문관과 5품 이하의 무관에게 주던 정직(正職)에 준하는 명예직으로 처음으로 벼슬길에 오르는 경우에 주었으며 정직 이름 밑에 붙여 썼음)등을 역임하여 가문을 빛냈다.

허주(許周)의 동생 허조(許稠))는 권근(權近)의 문하에서 글을 읽고 공양왕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한 후 조선 세종때 우의정(右議政:정1품 정승)을 거쳐 좌의정(左議政:정1품정승)에 올라 치사(致仕: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남)했다.
경사(經史:경서와 사기)에 밝았던 허성(許誠)은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정2품서울시장) 허주(許周)의 아들로 예조(禮曹)와 이조(吏曹)의 판서(判書:정2품장관)를 역임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예문관은 칙령과 교명을 기록하던 관청으로,대제학은 정2품 문형)에 올라 명성을 떨쳤다.
허조(許稠)의 아들 허후(許珝)는 문종때 형조판서(刑曹判書:정2품법무장관)로 세종실록(世宗實錄)편찬에 참여했고 단종때 좌찬성(左贊成:종1품)이 되어 황보인(皇甫仁), 김종서(金宗瑞)등과 함께 문종의 유명을 받들어 어린 단종을 보필하는데 앞장섰으며, 계유정난(癸酉靖難:조선조 1453년(단종1) 수양대군이 김종서. 황보인 등 여러 고명(顧命)대신을 없애고 정권을 잡은 사건)이 일어나자 이를 개탄하다 거제도(巨濟島)에 유배돼 죽음을 당했다.
그외 중추원부사(中樞院府使:왕명을 출납하고 궁중의 숙위를 담당하던 중추원의 종2품) 허척(許倜)의 아들 허계(許誡)는 밀양부사(密陽府使:정3품)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표리(表裏:왕이 신하에게 내리거나 신하가 왕에게 바치던 옷의 겉감과 안감)를 하사(下賜)받았으며, 병조참의(兵曹參議:정3품차관보)를 거쳐, 경주부윤(慶州府尹:종2품경주시장)을 역임해 가문을 빛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