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대중국 수출 30% 의존 높아
완제품·중간재 전방위 타격 불가

정부와 달리 민간기업연구소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2.0% 미만으로 예측한 가운데 중국의 경제성장률도 6%가 무너질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사드 해제 가능성도 작아 대중국 수출에 높은 의존도를 보이는 충남 수출 경제에도 비상이 걸릴 전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달 6일부터 20일까지 중국 진출 기업, 법무법인, 유관협회, 연구소 등 중국 전문가 96명을 설문한 결과, “올해 중국이 6%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그렇다(25.0%)’보다 ‘아니다(75.0%)’는 답변이 더 많았다. 이는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던 중국이 2012년 바오바(保八·8%대 경제성장)에 이어 2016년에는 바오치(保七·7%대 경제성장)를 버리고 중속(中速) 질적 성장정책을 표방한 데다가 미·중 무역분쟁과 세계 경제 둔화, 그리고 미국·이란 간 군사적 분쟁으로 이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의 원가 상승 우려가 총체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나마 국제통화기금 IMF는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을 6%로 예상했으나 OECD와 신용 평가사 무디스는 이보다 낮은 5.7%와 5.8%로 각각 전망했다. 이로써 지난해 1239억 달러(11월 기준)까지 떨어졌던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액도 더욱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충남 경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충남의 대중국 교역은 30%가 넘는다. 같은 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 의존도(26.8%)에 비교해 높은 상황이다. 또 충남은 전기·전자제품 비중이 76.1%에 달하는 탓에 중국이 해당 산업을 계속해서 비약적으로 발전시키고 있다는 점도 비관적 전망을 키우고 있다. 충남대 경제학과 A 교수는 “충남은 지역 기업의 중간재로 생산된 중국의 완제품이 미국에 수출되는 한·중·미 삼각구도에 의존해 교역하고 있다. 만약 미·중 무역분쟁과 이란 사태로 인한 유가 불안정이 중국 경제를 흔든다면 충남의 중간재 수요가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덧붙여 “저가 완제품에 대한 대중국 수출도 희망적이지 못 하다. 이미 가격 경쟁력에서 중국에 밀리고 있어서다. 이로써 충남의 대중국 수출액이 줄면 충남 기업에 재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전·세종·충북기업들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중소기업계와 학계에선 중국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수출액 감소 속도를 조절하면서 의존도를 낮추는 투트랙 전략이 수출 타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충남도는 중국 헤이룽장성, 러시아 아무르주 등 3자 교류를 추진해 국제협력모델을 강화하고 있고, 중소기업의 수출 강화를 위해 베트남 하노이와 인도 뉴델리에 해외통상사무소를 개소해 소비재·자동차부품·식품 등 주요품목별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다. 중국의 지속적인 경제성장률 감소가 기정사실로 굳혀지고 있는 만큼 더욱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정은한 기자 padeuk@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