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초 이후 최다 해외유입 30명 넘어
대전시 “철저한 방역 필요” 당부
[금강일보 신성룡 기자] 코로나19 확산세가 줄어들지 않은 가운데 해외유입이 지난 4월 이후 최다치를 기록하면서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수도권에서 시작된 집단감염이 대전을 넘어 광주까지 이어지자 대전시가 철처한 방역을 강조하고 나섰다. 특히 최근 집단감염이 일어난 의원에서는 방역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8일 자정 기준 전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63명이 발생해 누적 1만 3244명으로 늘었다.
신규 확진자는 지난 6일 48명, 7일 44명으로 이틀간 40명대로 내려왔으나 8일엔 다시 60명대로 올라섰다. 신규 확진자 63명의 감염경로는 해외유입이 33명으로 지역발생 30명보다 많다. 이는 지난 4월 5일 해외유입 40명 이후 94일 만에 가장 많은 수치로 전 세계 코로나19 재유행 상황과 맞물려 연일 증가하는 양상이다.
새로 확진된 지역발생 환자는 수도권 17명, 광주 7명, 충남 3명이 나왔으며 대전에서는 밤새 병원과 정부대전청사 등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 4명이 나와 누적확진자가 150명으로 늘었다.
대전의 경우 지난달 15일 이후 104명이 확진 판정을 받는 등 하루를 쉬지 않고 확진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1차 확산 때 46명의 확진자가 발생했으나 지난달 15일부터인 2차 확산 땐 약 3주 만에 배 이상 등장했다. 그만큼 전파력이 빠르단 뜻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설의 방역조치가 매우 중요하지만 감염병 차단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의원에선 관련 조치가 너무나 미흡했다.
이강혁 보건복지국장은 브리핑을 통해 “최근 의료진을 포함해 환자, 확진자 가족에 이르기까지 병·의원 집단감염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정림동과 원내동의 의원을 보면 의료진 종사자와 내원환자 등 방역관리가 매우 소홀했던 것을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집단감염 의심 사례가 나온 의원은 확진자가 수 차례 호흡기에 문제가 있다며 내원한 만큼 의료진은 분명 코로나19를 의심했어야 한다. 곧바로 선별진료소로 안내를 했어야 했는데 이런 조치가 없었다. 현장에서의 판단이 중요한데 굉장히 아쉽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진을 포함한 모든 종사자가 환자들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병원 내 감염경로를 차단하는 방역을 해야한다”고 당부했다.
확산이 계속되자 시는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카드를 검토하고 있다. 자체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에 준하는 고강도 생활 속 거리두기를 시행 중인데 확진자가 좀처럼 줄지 않아서다. 이 국장은 “경과를 본 후 거리두기 시행 단계를 격상하는 등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drago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