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재정 중앙투자 심사, 재검토 요청
3.8민주의거 기념관, 독립운동가 홍보관 연계 구상
[금강일보 신성룡 기자] 3·8민주의거 기념관 건립 사업 과제로 콘텐츠 부족 등이 떠오른 가운데 대전시가 이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구 독립운동가 홍보관 사업과의 연계를 구상하고 있다. 독립운동가 홍보관과 3·8민주의거 기념관은 큰 의미에서 보면 같은 맥락으로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한 묘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달 정부의 지방재정 중앙투자 심사 결과, 전시콘텐츠 보완 및 운영 적자 해소 프로그램 마련 등을 이유로 재검토 요청을 받았다. 이에 시는 관련 용역을 10월까지 연장키로 했으며 3·8민주의거를 포함한 다양한 중부권 민주화운동을 선보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콘텐츠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돌파구 중 하나로 중구의 독립운동가 거리 홍보관과 연계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중부권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시의 3·8민주의거 기념관 건립은 중구 선화동 일대에 국·시비 포함 156억 원을 투자해 오는 2023년까지 조성하는 사업으로 옛 충남도청 뒷길(선화동 367-19번지일원)에 짓는 중구 독립운동가 홍보관과 위치적으로 복합·연결할 수 있는 시설이다. 중구는 홍보관 내 콘텐츠로 대전출신 독립운동가에 대한 상설·기획 전시실, 독립운동 역사 VR체험공간을 비롯한 다양한 역사관련 체험프로그램을 구상 중이다. 이를 통해 단순히 3·8민주의거뿐만 아니라 옛 충남도청 인근의 아픈 역사를 체험하고 미래 청소년들에게 독립의 중요성을 교육시킬 수 있는 콘텐츠가 마련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의회와의 입장 차이로 홍보관 사업이 답보상태에 놓인 중구에는 환영할만한 소식이다. 중구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지난 26일 열린 2019회계연도 결산안 심사에서 독립운동가 홍보관 사업비 집행안을 불승인 의결했으며 지난해에도 관련 예산을 의회 승인 없이 부당하게 집행했다는 이유로 2018회계연도 결산안을 불승인 의결한 바 있다.
시 관계자는 “콘텐츠 부족 등의 지적에 따라 민주화운동단체 임원들의 의견 등을 수렴해 내달 중 다시 한 번 중투심사를 신청할 예정”이라며 “콘텐츠 보강을 위해 독립운동가 홍보관과 연계하는 방안에 대해 어느 정도 구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drago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