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오징어잡이 철을 맞아 기대를 모으고 있던 태안 안흥항 어민들이 어획량 감소로 울상을 짓고 있다.27일 서산수협 안흥위판장에 따르면 이달 중순부터 서해바다 근해에서 오징어가 잡히기 시작하면서 어민들이 큰 기대를 했으나 장마와 집중호우등으로 예년의 절반수준에도 못미치는 어획량을 보이고 있다.요즈음 10여 척의 어선이 오징어잡이에 나서고 있지만 하루에 총 4000여 마리를 어획하고 있어서 어민들이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어획량이 적은 반면 판매가격은 뛰고 있다.산오징어 1마리에 3000원. 20마리 한 박스당 3만 원에 거래되는 등 예년에 비해 값이 두 배로 올랐다. 게다가 수요는 늘어서 주문이 빗발치지만 오징어가 없어서 난리다.어민들은 “성어기인 내달 초부터는 울산지역의 오징어잡이 어선들이 안흥항으로 올라오면 어획량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올해 오징어잡이를 위해 풍어기원제라도 올려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서산수협 안흥위판장 관계자는 “장마와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오징어 어획량이 턱 없이 감소했다”며 “앞으로 성어기가 돼 봐야 오징어잡이의 성패를 가늠할 수 있다”고 했다.한편 태안산 오징어는 값이 싸고 맛이 좋은데다 수도권까지 2시간 이내 운송이 가능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어 서울 등 수도권 수산물 도매상들에게 인기가 있다.또 서해안 오징어 어획시기가 태안반도 해수욕장 개장과 맞물려 태안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인기다. 오징어는 회, 찜, 볶음, 순대, 냉채, 불고기 등으로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으며 산 오징어를 통째로 찜을 하든가 구이를 하여 내장과 함께 먹는 산 오징어 통구이는 바닷가의 별미 중 별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