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성심으로 세조의 회유 거절한 박팽년
박팽년은 1417년 박중림(朴仲林)의 아들로 태어났다. 1434년(세종16) 알성문과(謁聖文科: 임금이 성균관에 거둥한 후 보던 과거)에 을과로 급제하고 성삼문(成三問)과 함께 집현전(集賢殿,經籍(경적), 典故(전고)등 사무를 관장(管掌)하던 학문연구기관)학사로서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
1455년 세조가 즉위하자 성삼문, 하위지(河緯地), 이개(李塏), 류성원(柳誠源), 유응부(兪應孚), 김 질 등과 함께 단종복위를 도모했다가 실패해 1456년(세조2) 가족이 모두 처형됐다. 경기도 과천의 민절서원(愍節書院), 홍주의 노운서원(魯雲書院) 등에 배향됐다.
1434년(세종 16) 알성문과(謁聖文科: 왕이 성균관에 거둥하여 알성한 후 보던 과거)에 급제한 박팽년은 성삼문(成三問)과 함께 세종의 극진한 총애를 받았으며 경학(經學), 문장(文章), 필법(筆法) 등에 빼어난 석학(碩學)으로 세조 때 형조참판(刑曹參判: 종2품 법무차관)에 올라 사육신과 함께 단종복위를 도모하다가 거사(巨事) 직전에 탄로나 아버지와 함께 화(禍)를 입었다.
국문(鞠問)을 하던 세조는 박 팽년의 재주를 아껴 “만일 네가 나를 섬기면 살려 주겠다”라고 회유했으나 그는 “나는 상왕의 신하이지 당신의 신하가 아니오”라며 이를 거절했다.
세조가 사육신들을 옥에 가두었을 때 김 질로 하여금 술을 가지고 가서 옛날 태종이 정몽주에게 불렀던 하여가(何如歌)로 마음을 떠 보려 하자 성삼문은 정몽주의 노래로 대답했고 박팽년은 아래와 같은 시(詩)로 답했다.
금생여수(金生麗水)/ 깨끗한 물에서 나지만 물마다 금이 나며
옥출곤강(玉出崑崗)/ 옥은 곤윤산에서 나지만 뫼마다 옥이 나랴
여필종부(女必從夫)/ 아무리 여자는 남자를 따라야 한다지만 임마다 이를 좇아야하는가?"
박팽년 일가가 멸족될 때 둘째아들 박순(朴珣)의 아내 성주이씨(星州李氏)가 임신 중이었는데 나라에서는 이 뱃속에 든 아이까지도 아들일 경우 죽이라는 선고를 내렸다.
교동현감(喬洞縣監:종6품수령) 이질근의 딸인 이(李)부인은 친정인 경북 달성군 하빈면 사동(河濱面沙洞:일명 묫골)에 내려가 살다가 아이를 낳았는데 아들이었다.
유일한 이 혈손을 보존하기 위해 고심하던 중 마침 충비(忠婢)가 딸을 낳자 서로 바꿔 박비(朴婢)라는 이름으로 자라났다. 이 아이가 장성한 후인 성종 때 박 순(朴珣)과 동서지간이던 이극균(李克均)이 경상도감사(慶尙道監司:종2품 관찰사)로 내려와 울면서 자수를 권고시키자 16세의 소년은 한양으로 달려가서 왕에게 박팽년의 자손임을 고했다.
성종은 기뻐하면서 특사령을 내리고 이름도 일산(壹珊)으로 고쳐주었다.
<박팽년의 시(詩)>
까마귀 눈비 맞아
희난듯 검노메라
야광명월이
밤인들 어두우랴
님 향한
일편단심이야
변할 줄이 있으랴.
이 시(詩)는 박팽년이 지은 시조로 널리 알려져 있다.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돼 세상을 마감한 박팽년이 이 시(詩)에서 까마귀는 세조에 아부하는 간신 세력을 가리킨다. 까마귀가 눈비를 맞아 잠시 희어지는 듯하지만 그래도 까마귀는 검을 뿐이다. 어두운 밤에 더욱 밝은 빛을 내는 명월(明月)은 세조의 살벌한 탄압속에서도 굴하지 않는 충신들을 암시한다.
시조속에는 세조의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주군에 대한 의리와 충성심은 변치 않는다. 현대에도 검은 것들은 자리마다 변색하고 있지만 시조(詩調)는 이렇게 그 시대를 알 수 있게 역사성을 반영하고 있다.
박팽년(朴彭年,1417~1456)의 묘는 서울시 동작구 노량진1동 사육신공원에 있다.
중종반정(中宗反正)의 주역인 박원종(朴元宗)은 영의정(領議政:정1품정승)에 이르렀는데 이는 조선조에 몇 안되는 무과(武科)출신 영의정이다. 그는 신장이 9척이며 풍채가 의젓하였고 월산대군(月山大君)과 윤여필(尹汝弼)의 처남으로 구속됨이 없었고 영웅 기질이 짙은 무인(武人)이었다고 한다.
박원종의 누이가 연산군(燕山君)에게 몸을 더럽혔을 때 박원종을 불러 원수를 갚아 달라면서 이를 악물고 죽자 그는 이것이 항상 원한에 사무쳐 성희안(成希顔), 류순정(柳順汀) 등과 함께 연산군을 폐하고 중종반정을 단행한 동기가 됐다고 한다. 박원종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1리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