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으로 지정된 자랑스러운 글자는?
일제강점기에 한글을 위해 힘쓴 단체는?
조선어학회는 무슨 단체?

한글의 우수성을 기르는 날 한글날이 오늘까지 이어질 수 있었던 이유는?

훈민정음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을 펴낸 것을 기념하는 국경일이 있다. 바로 한글날이다.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갸갸날’이 시초이며, 1928년에 ‘한글날’로 개칭된 한글날은 광부 이후 양력으로 10월 9일날 확정되었다. 또한 2006년부터는 국경일로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에 기원이 된 한글날은 오늘날에 국경일로 지정되어 이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한글날이 일제강점기를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어떻게 이어질 수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출처 - 게티이미지 뱅크

훈민정음

훈민정음은 우리나라 국보 70호이며,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된 우리의 자랑스러운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든 글자이다.

조선시대 이전까지 우리 조상들은 한자로 글을 썼다. 그러나 우리말을 한자로 옮기는 것은 너무 어려웠다. 또한 한자는 복잡하고 어려워서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기 어려운 글자였다.

이러한 까닭에 세종대왕은 일반 백성들도 사용하기 쉬운 글자를 만들고자 생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훈민정음 창제는 시작부터 어려웠다. 최만리 등의 학자들이 한자가 아닌 다른 문자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은 아니라며 반대를 하였기 때문이다.

시작부터 순탄치 않았던 훈민정음 창제는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의 갖은 노력과 연구 끝에 1443년에 결실을 맺었다.

1443년 완성 된 훈민정음은 3년간의 시험기간을 거쳐서 1446년에 처음으로 반포되었다.

사람의 소리를 내는 구강구조를 본 떠 자음을 만들고 사람의 모습을 본 떠 모음이 만들어진 훈민정음은 소리 나는 대로 읽고 쓸 수 있는 과학적이고 신비로운 글자이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오늘날 우리나라는 한문을 쓰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소리나는 대로 읽고 쓸 수 있는  훈민정음을 만들어 준 세종대왕에게 한글날만은 감사함을 가져보자!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조선어학회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나라는 우리의 말과 문자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가 없었다. 이로 인하여 한글과 한국어가 소멸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조선어학회이다.

1921년 우리말과 글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단체인 조선어학회는 장지영, 이윤재, 최현배 등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1929년 학회가 중심이 되어 사회 각계 인사 108인이 참여한 ‘조선어사전편찬회’를 조직했다.

한글이라는 글자가 사라질 수 있는 시대에 ‘조선어사전편찬회’를 통해 사전을 만드는 것은 어불성설일 수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대라서 사전은 필요한 것이었다. 조선어학회는 사전을 통하여 문화의 기초가 되는 언어를 정리하고 문화의 기초를 세워 독립을 이루고자 하였다.

조선어학회는 사전 말고도 우리 겨레 최초의 철자법을 제정하고 외래법 표기안과 조선어 표준말 모음 등 다양한 것을 이루어냈다.

조선어학회가 다양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1942년 10월에 일본어 사용과 국어 말살을 꾀하던 일제가 조선어 학회의 회원을 투옥한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외솔 최현배, 무돌 김선기, 해관 신현모 등 많은 분들이 옥고와 옥사를 하였다.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조선어학회가 자칫 해체 될 뻔 하였지만 해방 후 49년 한글학회로 개칭하여 오늘날까지 한글이 이어지도록 노력하였다.

 

세계 어느 나라 글자랑 비교해도 우수성이 떨어지지 않는 한글은 과학적인 글자이다. 하지만 현재에는 한글이 크게 수난을 당하고 있다.

축약어, 비속어, 비표준어 등으로 한글이 일상 속에서 점점 파괴되고 있다..

힘들고 어려운 시기를 거쳐 훈민정음이 완성되고, 일제강점기라는 힘든 시기를 거쳐서 이어져왔다.

다른 날은 지키지 못하더라도 훈민정음 창제를 기념하는 한글날인 10월9일 만큼은 한글에 대한 우수성을 생각하며 훼손하지 않기를 바란다.

 

김선욱 대학생 기자 06ksw@naver.com

--

한글의 우수성을 기르는 날 한글날이 오늘까지 이어질 수 있었던 이유는?

유네스코 세계기록 유산으로 지정된 자랑스러운 글자는?
일제강점기에 한글을 위해 힘쓴 단체는?
조선어학회는 무슨 단체?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