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형 한국교통안전공단 대전충남본부 차장

야간운전은 시야의 범위가 좁아져 특히 조명이 없는 도로에선 전조등이 비추는 범위만 볼 수 있어 보행자나 위험물체의 발견이 늦어진다. 자기 차와 마주 오는 차의 전조등 불빛이 서로 마주쳐 눈이 부시거나 증발현상이 발생해 도로를 횡단하고 있는 보행자가 보이지 않게 되는 현상도 일어날 수 있다. 밤엔 장애물이 잘 보이지 않거나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낮시간의 경우보다 사망사고의 비율도 높아진다.
또 야간운전은 전조등에 의존하게 돼 짧은 가시거리로 대응시간도 짧아지며 특히 보행자가 어두운 계통의 옷을 입은 경우 발견이 쉽지 않은데 안전한 야간운전을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첫째, 전조등은 조금 일찍 켠다. 해가 지고 주위가 어둑둑해지기 시작할 때 좀 이르다는 생각이 들어도 차폭등이나 미등 등을 켜준다. 이는 보행자나 대향차에게 자기 차의 주행을 알려주는 효과도 있다. 이른 아침 동틀 무렵에도 주위가 환해지기 전까진 라이트를 켜고 주행하는 것이 좋다.
둘째, 주위를 살핀다. 신호등이 없는 교차로나 길이 갈라지는 곳에선 가로등이 없거나 대향차의 불빛을 받게 되면 도로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이런 장소에선 일단 속도를 줄여 주위를 살핀 후에 통과한다. 다른 차의 전조등 불빛이 없다고 방심하고 주행하면 전조등이 약한 오토바이나 자전거, 보행자 등을 보지 못할 위험이 크다. 가로수 그림자에 가려 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가 잘 보이지 않을 수도 있고 주차한 자동차가 뒤늦게 눈에 띄는 경우도 있으며 밤엔 검정, 회색 등은 식별이 잘 안되므로 의심스러운 곳에선 상향등과 하향등을 번갈아 작동한다든지 경적을 가볍게 울린다.
셋째, 밤엔 시야가 좁아진다. 밤엔 시야가 전조등의 범위로 좁아진다. 보통 하향등은 40m, 상향등은 100m 정도의 전방을 밝히게 되는데 주위의 가로등에 의지해 달릴 때는 실제로 눈에 들어오는 거리는 이보다 더 짧다. 하향등을 켜고 시속 60㎞로 달리면 불과 약 2초만에 운전자가 확인한 장애물 앞에 다가가게 된다. 또 음주운전자나 졸음운전자, 술 취한 보행자 등이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낮에 달리던 속도보다 20% 정도 감속하고 1차선보단 2차선이나 3차선으로 달리는 것이 좋다.
넷째, 상대방에 대한 배려심이 필요하다. 상대방 차량의 무분별한 전조등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눈 피로에 의한 과로운전사고, 착시현상등 사고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대다수의 사고원인이 운전자들의 잘못된 차량불빛 사용이 아닌가 한다. 신호대기중일 때는 상대방 차량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전조등을 잠시 꺼두고 미등을 켜두는 것이 좋다. 차량불빛은 우천이나 야간운전시 우리에게 필요한 길벗이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운전자들의 피로를 배가시켜 안전운전의 적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긴장 속 운전으로 쉽게 피곤해지고 졸음도 찾아올 수 있는 야간운전, 이를 극복하는 가장 종은 방법은 무엇보다도 안전운행을 위한 서행과 충분한 휴식에 대한 인식이다. 작은 부주의로도 큰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야간운행, 우리 모두가 조금만 더 주의를 기울여 운전한다면 교통사고 없는 즐거운 야간운행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