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국내 연구진이 가상현실(VR) 콘텐츠를 즐길 때 나타나는 멀미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VR 멀미 정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SW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ETRI에 따르면 사용자 500명 이상으로부터 실험 데이터를 얻어 기계학습을 적용해 VR 요소들과 VR멀미 간 상관성을 도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VR은 사용자별로 멀미 경험도 차이가 크다는 점을 고려, 개인별 특성이 반영된 체험 데이터를 대규모로 활용했다는 점에서 더욱 가치가 크다.
연구진이 개발한 ‘VR 휴먼팩터 기반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는 사용자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얻어 인공지능으로 VR 멀미를 예측하는 학습엔진 SW다. 즉 개인별 VR 멀미 유발 유형을 바이오마커 패턴 관찰로 분석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이 개발한 또 다른 기술인 ‘VR 멀미 저감용 콘텐츠 저작 도구’를 활용하면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VR 요소들을 실시간 조절도 가능해 간편하게 멀미를 줄일 수 있다.
기존에는 VR 콘텐츠를 개발 시 중간 검증을 반복하며 멀미에 영향을 끼칠만한 요소들을 수작업으로 조정했다. 주관적으로 수정을 해야 하고 시간과 비용도 많이 들었다. 그러나 본 도구는 레벨 1~5까지 정량적인 지표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게임 개발 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상용 유니티(Unity) 게임엔진 프로그램과도 쉽게 호환된다. 이로써 직관적이고 실시간으로 멀미 유발 요소들을 편집할 수 있어 개발 편의성이 한층 더 높아질 전망이다.
손욱호 CG/Vision연구실 박사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VR 멀미 분석 및 예측 기술을 활용해 고난도 작업 훈련, 정신질환 치료, 의료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로 상용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