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일보 곽진성 기자] 국가 혁신성장을 위한 3대 인프라인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가 정부와 업계의 주목을 받으면서 소프트웨어(SW) 관련 학과에도 지원자 수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

지난 27일 KAIST(총장 신성철)에 따르면 지난 2016년 과기정통부 SW 중심대학사업(정보통신기획평가원 주관사업)에 선정된 이후 1학년에 재학 중인 새내기학부생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학과 신청접수 결과, 전산학부 신청자 수가 지난 2018년과 지난해 각각 160명(전체 신청 학생 수 기준 19.5%)과 192명(22.8%)에서 올해에는 210명(26.3%)으로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특히 올 전산학부를 선택한 무학과 학생들의 증가율은 지난 2018년 대비 무려 31.2%나 급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세계적인 권위와 영향력을 자랑하는 영국 고등교육평가기관 THE가 지난달 발표한 2020~2021 세계대학 컴퓨터사이언스 분야에서 KAIST는 각각 국내 1위와 세계 순위 42위를 차지했다.

KAIST의 도약은 우연이 아니다. KAIST는 지난 2016년 SW 중심대학으로 선정된 이후 ‘융합, 개방, 수요자중심, 협업, 확산, 지속’을 6대 핵심 가치로 삼고 16대 프로그램을 통해 ‘AI·SW 10만 인재 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THE 평가순위 또한 2018~2019년 53위에서 2019~2020년 44위로 그리고 2020~2021년에는 42위로 전년 대비 2단계나 뛰어오르는 등 매년 순위가 상승하는 추세다. 배두환 SW 중심대학사업단장(전산학과 교수)은 “지난 2016년에 선정된 SW 중심대학 1차 사업을 통해 SW 교육을 시대적 요청에 따라 수요자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기본 체력을 다지는데 중점을 두고 산업계와 연구계의 수요에 부응하는 융합형 SW 인재양성을 위해 노력 중”이라며 “현 시점에서 요구되는 ‘SW 안전에 대한 연구’도 이를 바탕으로 시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곽진성 기자 pen@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