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개 매체, 기자 300여 명…언론 홍수시대
개방형 브리핑 역행하는 ‘통제’ 기자실
‘언론 정화’ 빌미로 비판언론 찍어내기
일각 “윗선 지시 없이는 못할 계략”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비 127억 확보, 세종시가 국가 대변혁의 중심지로 부각되고 있는데도  언론환경은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했던 개방형브리핑제 이전의 시대로 돌아가는 구태로의 회귀를 보이고 있다. 서중권 기자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비 127억 확보, 세종시가 국가 대변혁의 중심지로 부각되고 있는데도 언론환경은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했던 개방형브리핑제 이전의 시대로 돌아가는 구태로의 회귀를 보이고 있다. 서중권 기자

[금강일보 서중권 기자] 지난해 여름 무거운 마음으로 본사를 내방했던 A기자. 다행히 해임직전에 ‘누명’으로 밝혀졌지만, 험난한 언론환경에 새삼 전율을 느꼈다고 회고한다.
세종시는 지난해 A기자의 본사에 시 출입 기자를 교체해줄 것을 통고했다. A기자가 ‘언론계 정화’ 가이드라인에 해당되는 범죄행위가 있다는 명분이다.

◆ 시, A기자 ‘언론계정화’ 빌미 ‘교체’ 요구… 허위로 꾸민 ‘음해’ 드러나

‘언론계 정화’ 가이드라인은 세종시 관내 시를 비롯해 5개 공공기관은 각종 범죄를 저지르는 등 문제가 있는 기자를 퇴출하는 규정이다.

이 가이드라인은 이춘희 시장 출범초기 시행됐고, 전국 최초 언론계 정화운동은 타 지자체의 벤치마킹 사례로 부각될 만큼 관심을 끌었다.

A기자는 시 해당 직원으로부터 퇴출사유를 듣고 기가 막혔다. 결국 ‘음해’로 꾸며진 것에 불과한 시나리오로 밝혀졌다.

시 대변인실 B사무관은 옛 기사를 수집한 자료에서 언론정화 가이드라인 부분만 ‘핀셋’ 해 마치 A기자의 행위로 왜곡했던 것.

이 과정에서 시는 당사지인 A기자에게 사실여부조차 확인하지 않고, 출입기자 교체를 요청했던 것.

이에 대해 당시 여론은 “A기자가 이춘희 시장의 행정과 관련해 각종 문제점을 과감하게 지적하는 등 연속보도를 한 것에 대해 시 입장에서 비판언론을 대하기 편치 않았을 것”이라고 총평했다.

일개 대변인실 사무관이 국장급 기자를 찍어내기 위해 독단적으로 행한 일로 보이지 않는다는 말이 많았다. 윗선의 지시가 있었던 것으로 봐야한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 ‘핀셋’ 왜곡, “윗선지시 있었을 것”…“비판언론 찍어내기” 비난

시는 대변인을 통해 A기자에 사과했고, 본사에도 사과했다. 하지만 ‘언론계 정화’ 가이드라인이 비판언론 ‘찍어내기’에 악용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받아 마땅하다는 분위기가 확산됐다.

법조계는 “이 같은 공무원의 처세는 허위사실유포와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처벌받을 수 있다”는 법해석도 내놨다.

이 시장 출범당시 세종시청출입을 통보한 언론매체는 200여 곳, 300여 명의 기자명단이 등록됐었다.

세종시 신도시(행복도시)건설 바람이 불면서 전국각처의 언론매체가 집중된 까닭이다. 언론의 홍수사태를 맞은 신도시, 언론매체도 우후죽순 난립 현상으로 여러 문제점이 부상했다.

◆ ‘불량언론’·‘우량언론’ 가르는 가이드라인 … 갑질 역기능 논란

이 같은 상황에서 ‘불량언론’과 ‘우량언론’을 가르겠다며 제도화한 것이 ‘언론계정화’가이드라인이다.

현재 특정언론에만 제공된 기자실은 20여 개의 부스 등 편익을 제공하고 있다. 출입문은 ’지문인식‘ 잠금장치로 통제하고 있다.

복수의 기자들은 “이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했던 개방형브리핑제 이전의 시대로 돌아가는 구태의 희귀다. 공공기관의 ‘기자실’은 특정 언론의 취재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공간이 아니기에 지정좌석제나 지정부스 등 별도의 칸막이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폈다.

전국의 주목을 받았던 ‘언론계 정화’ 가이드라인이 비판언론 ‘찍어내기’의 ‘갑질’로 비춰지는 등 역기능이 우려되고 있다.

세종=서중권 기자 0133@ggilbo.com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