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자선교회이사장

김형태 박사
김형태 박사

[금강일보] ‘디아스포라’(분산/流民化)는 유대인 중 고향인 팔레스타인을 떠나 유대적 전통과 생활습관을 유지하면서 외국에 나가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B.C 8세기 고대 이스라엘이 아시리아의 침입으로 멸망하자 고국을 떠나기 시작했고 여기저기로 분산되어갔다. 이들은 적응성과 융통성이 탁월했다. 이들은 고리대금업, 전당포, 환전상, 고물상 등을 운영했고 군주의 보호를 받기 위해 세금징수 업에 종사하기도 했다. 유대인의 정신적 지주는 '탈무드' 속에 있으며 지금도 계속 추가되면서 계승되어오고 있다. 유랑과 박해 속에서도 승리한 유대인의 지혜를 알아보겠다.

① 의리의 정신- 승자는 실수했을 때 ‘내 잘못’이라고 솔직히 인정한다. 패자는 실수했을 때 책임 전가와 핑곗거리를 찾는다. 승자는 어린이에게도 사과하지만 패자는 노인에게도 고개를 숙이지 못한다. 승자는 넘어지면 일어나 앞을 보고 패자는 일어나 뒤를 본다.

② 목표의 정신- 승자는 더 열심히 일하지만, 시간적 여유가 있고 패자는 게으르면서도 바쁘다고 한다. 승자의 하루는 25시간, 패자의 하루는 23시간이다. 승자는 열심히 일하고, 열심히 놀고 열심히 쉰다. 패자는 허겁지겁 일하고 빈둥빈둥 놀고, 흐지부지 쉰다. 승자는 시간을 관리하고 패자는 시간에 끌려다닌다. 승자는 시간을 이끌고 가고, 패자는 시간에 쫓겨서 달린다.

③ 패기의 정신- 승자는 과정에 살고, 패자는 결과에 산다. 승자는 지는 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패자는 이겨도 늘 염려한다. 승자는 구름 위에서 태양을 보고, 패자는 구름 속에서 태양을 본다.

④ 개척의 정신- 승자는 문제 속에 뛰어든다. 패자는 문제의 변두리에서 맴돈다. 승자는 눈을 밟아 길을 내는데 패자는 눈이 녹기만을 기다린다. 승자는 무대 위로 올라가는데 패자는 관객석으로 내려간다. 승자는 바람을 돛을 위한 에너지로 삼고 패자는 바람을 보면 돛을 내린다. 승자의 주머니 속에는 비전이 있고 패자의 주머니 속에는 욕심이 있다. 승자는 실패를 거울로 삼고 패자는 성공도 휴지로 버린다. 승자는 파도를 타고 패자는 파도에 삼키운다.

⑤ 도전의 정신- 승자는 “다시 한번 해보자”고 말하고 패자는 “해봐야 별수 없다”고 말한다. 승자는 용감한 죄인이 되고 패자는 비겁한 요행을 찾는다. 승자는 새벽을 깨우고 패자는 새벽을 기다린다. 승자는 달려가며 계산하고 패자는 출발 전에 계산한다.

⑥ 창조의 정신- 승자는 다른 길이 있을거라고 생각하나 패자는 길은 하나뿐이라고 생각한다. 승자는 더 나은 길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나 패자는 갈수록 태산일거라 생각한다. 승자의 방에는 여유가 있어서 여러 모양으로 변화를 시도하나, 패자는 자기 하나를 좁은 방에다 가두어 놓는다.

⑦ 의욕의 정신- 승자는 등수(等數)나 상(賞)과는 상관없이 달리지만 패자는 상을 받을 수 있어야 비로소 달린다. 승자의 경주는 평탄한 신작로나 험준한 고갯길 모두가 중요하다. 패자의 경주는 평탄한 신작로나 내리막길만 좋아한다. 승자는 꼴찌를 해도 의미를 찾으나 패자는 일등 할 때만 의미를 느낀다. 승자는 달리는 도중에 이미 행복하다. 패자는 결과를 보아야 행복하다.

⑧ 겸허의 정신- 승자는 자기보다 우월한 자를 존경하며 배울 점을 찾는다. 패자는 자기보다 우월한자를 시기 질투하고 그 사람의 허점을 찾으려 한다. 승자는 자기보다 못한 자도 친구로 환영하지만 패자는 자기보다 못한 자는 무시해버린다. 승자는 강한 자에게 강하고 약한 자에게 약하다. 패자는 강한 자에겐 약하고 약한 자에겐 강하다.

⑨ 희생의 정신- 승자는 몸을 바치고 패자는 혀를 바친다. 승자는 행동으로 말을 증명하고, 패자는 말로써 행위를 변명한다. 승자는 책임지는 자세로 살고 패자는 변명하는 자세로 산다. 승자는 벌 받을 각오로 결단하고, 패자는 영광만 위하여 결단을 회피한다. 승자는 인간을 섬기다가 감투를 쓰고, 패자는 감투를 쓰려다가 사람을 잃는다. 이 세상 모든 일과 경쟁(시험/경기/전쟁)에는 승리자도 있고 실패자도 있다. 갖고 있는 기본실력도 중요하지만, 삶의 태도와 판단도 중요한 승·패 요인이 된다.

저작권자 © 금강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